“시진핑, 4∼5월 방러 계획…푸틴 만나 평화협상 촉구할 듯”

“시진핑, 4∼5월 방러 계획…푸틴 만나 평화협상 촉구할 듯”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2-22 15:31
수정 2023-02-22 15: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지난해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회담하면서 대화하고 있다. 베이징 AP 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지난해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회담하면서 대화하고 있다. 베이징 AP 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몇 달 안에 모스크바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추진되는 시 주석의 방러는 중국이 분쟁 종식을 위해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중러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시 주석은 푸틴 대통령에게 다자 평화 대화를 촉구하고 핵무기 사용 반대 입장을 거듭 천명할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밝혔다.

러시아를 방문 중인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겸 중앙정치국 위원이 시 주석의 모스크바 방문 일정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의 방러 시점은 4월 또는 5월 초로 예상된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3월에 중국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열려 국가 정상의 해외 순방을 자제한다. 다만 시 주석의 방러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여서 정확한 시기는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중러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중립적 태도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식을 계기로 푸틴 대통령을 만나 ‘무한한 우정’을 약속했던 것과 사뭇 달라진 입장일 수 있다고 WSJ은 진단했다.

그동안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러시아를 외교적으로 지지했고 서방의 제재로 경제적 위기에 처한 러시아에 생명줄을 제공했다. 러시아산 석유와 천연가스 수입량을 크게 늘렸고 군사 목적으로 전용될 수 있는 첨단 기술제품도 수출해왔다.

중국의 이러한 태도에 서방의 비판과 불신이 높아지자 베이징이 새로운 자세로 전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WSJ는 소개했다. 왕 주임은 최근 독일 뮌헨안보회의에서 이번 주 내로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한 독자적인 입장문을 발표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교장관 등과 만나 전방위 외교전을 펼쳤다.

다만 미 싱크탱크 스팀슨센터의 쑨윈 중국프로그램 국장은 WSJ에 “중국은 단지 평화를 촉구할 뿐만 아니라 전쟁 해결을 위한 비전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저 평화를 촉구하는 것은 값싸고 쉬운 일”이라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