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CEO 45% “AI·기후변화 적응 못하면 10년 내 사업 실패”

전 세계 CEO 45% “AI·기후변화 적응 못하면 10년 내 사업 실패”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24-01-17 00:13
업데이트 2024-01-17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702명 설문… 韓은 75% 달해
‘자국 경제 부정적’ 한국 66%
중국 19%·인도 3%와 대조적
다보스포럼 개막… 현안 논의

이미지 확대
세계 주요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인류 공통의 현안을 논의하는 세계경제포럼(WEF)이 15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가운데 영국의 예술가 사이먼 벡이 기후 위기, 사회 불평등 등에 항의하는 메시지를 담아 새하얀 설원을 이용해 만든 작품 ‘성장보다 삶’(Life over Growth!)이 전시 중이다. 다보스 로이터 연합뉴스
세계 주요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인류 공통의 현안을 논의하는 세계경제포럼(WEF)이 15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가운데 영국의 예술가 사이먼 벡이 기후 위기, 사회 불평등 등에 항의하는 메시지를 담아 새하얀 설원을 이용해 만든 작품 ‘성장보다 삶’(Life over Growth!)이 전시 중이다.
다보스 로이터 연합뉴스
전 세계 기업 최고경영자(CEO) 중 절반에 가까운 45%가 현재처럼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기술 발전과 기후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10년 안에 자신의 사업이 실패할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가 105개국 CEO 470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막한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공개했다. 지난해 이맘때 같은 조사에선 39%가 이렇게 응답했다.

한국 CEO의 75%는 회사가 현재 추세로 계속 운영된다면 수익이 지속될 기간을 ‘10년’으로 꼽았다. 글로벌 평균의 두 배에 육박한다. 올해 세계경제 전망을 둔화할 것이라고 본 경우는 글로벌 CEO는 45%, 한국 CEO는 64%였다.

또 자국 경제를 부정적으로 본 CEO는 한국 66%로, 중국(19%), 인도(3%)와 크게 대조를 이뤘다. 보고서는 “한국 CEO의 국내 경제 전망이 부정적인 이유는 높은 대외 의존도와 급속한 고령화 등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읽힌다”고 판단했다.

글로벌 CEO 중 65%가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탈탄소화 노력을 진행 중이며, 평균 32%가 지난 1년간 생성형 AI를 도입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글로벌 CEO의 70%는 향후 3년 내 생성형 AI로 회사의 가치 창출 방식이 바뀔 것이라고 생각했다.

전 세계 정·재계, 학계 유명 인사가 한자리에 모여 인류 공통의 현안을 논의하는 다보스포럼은 이날부터 공식 일정에 들어갔다. 올해로 54번째인 이번 포럼에서 세계 리더들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다자주의 무역의 후퇴, AI를 인류 번영의 도구로 활용할 방안 등을 두고 머리를 맞댄다. 이런 현안으로 공존의 길을 모색하고 신뢰를 쌓아 나가자는 취지로 이번 포럼의 주제는 ‘신뢰의 재구축’으로 정했다.
송한수 선임기자
2024-01-17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