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 반대 시위·트럼프 선거 유세 방해까지…美 정치·사회 흔드는 ‘케이팝 팬덤’

인종차별 반대 시위·트럼프 선거 유세 방해까지…美 정치·사회 흔드는 ‘케이팝 팬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06-23 22:22
업데이트 2020-06-24 0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뉴스 읽는 키워드로 급부상

NYT “하위문화로 자리잡고 영향력 발휘”
BTS 흑인인권 캠페인, 사회운동으로 확산
케이팝 팬, SNS 능숙·투표권 있는 젊은층
‘기생충 폄하’ 트럼프 지지자들과 정반대
이미지 확대
최근 미국에서 케이팝 팬들의 조직된 행동과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2월 미국 뉴욕 록펠러 플라자에서 열린 ‘투데이쇼’에 출연한 방탄소년단의 모습을 바라보는 팬들의 모습. 뉴욕 AFP 연합뉴스
최근 미국에서 케이팝 팬들의 조직된 행동과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2월 미국 뉴욕 록펠러 플라자에서 열린 ‘투데이쇼’에 출연한 방탄소년단의 모습을 바라보는 팬들의 모습.
뉴욕 AFP 연합뉴스
인종차별 반대 시위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유세까지 최근 미국의 주요 뉴스를 읽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는 ‘케이팝’이다. 북미 시장에서의 상업적 성공을 넘어 사회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이끄는 케이팝의 정치적 함의에 대한 미국 내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2일(현지시간) 케이팝에 대한 분석 기사에서 “한국에서는 비정치적이고 상업적인 케이팝 문화가 미국에서는 하위문화로 자리잡으며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된 시기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케이팝의 영향력을 눈여겨보게 한 대표적인 이슈는 인종차별 반대 시위였다. 방탄소년단(BTS)이 흑인 인권운동 캠페인에 100만 달러(약 12억원)를 기부한 데 이어 다른 한국 가수들도 기부와 지지 메시지를 보내며 존재감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여기에 BTS 팬덤 ‘아미’ 사이에서 같은 액수를 기부하자는 ‘매치어밀리언’ 해시태그가 급속히 전파되면서 케이팝 스타들의 기부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사회적 운동으로까지 확산됐다.
이미지 확대
지난 20일(현지시간) 오클라호마주 털사 유세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캠프는 이날 유세가 흥행에 실패한 이유로 코로나19 및 인종차별 반대 시위의 여파를 꼽았지만, 외신들은 케이팝 팬들이 유세를 방해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털사 AFP 연합뉴스
지난 20일(현지시간) 오클라호마주 털사 유세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캠프는 이날 유세가 흥행에 실패한 이유로 코로나19 및 인종차별 반대 시위의 여파를 꼽았지만, 외신들은 케이팝 팬들이 유세를 방해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털사 AFP 연합뉴스
케이팝 팬들의 위력은 최근 트럼프가 야심차게 준비한 정치 이벤트에서도 확인됐다.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석 달 만인 지난 20일 열린 트럼프의 오클라호마주 털사 유세가 흥행에 참패한 이유가 동영상 공유 미디어 ‘틱톡’을 사용하는 10대와 케이팝 팬들의 방해 때문이라는 보도가 나왔기 때문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능숙하고 대중문화를 향유하는 젊은층의 반(反)트럼프 여론이 어떻게 현실 정치를 뒤흔들 수 있는지를 보여 준 대표적인 사건이라는 분석이 잇따랐다.

NYT는 미국의 케이팝 팬덤이 ‘젊고 외향적이며 진보적’이라는 데 주목했다. 인디애나대 동아시아 문화학 객원 조교수인 시더보 새이지는 NYT에 “이들은 영화 ‘기생충’을 폄하하고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진정한 영화라고 말하는 트럼프 지지자들과 정반대에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케이팝 팬층이 현실 정치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연령대라는 점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미국의 한 20대 BTS 팬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우리 팬덤은 정치적 관여도가 매우 높은데 이는 케이팝 팬층 가운데 인종적으로 가장 다양하기 때문”이라면서 “많은 조사·분석을 보면 미국 내 BTS의 팬층은 18~30세로 대부분 대학생이거나 직장인들로 투표권이 있다”고 했다. NYT는 이와 관련, 개개인의 개성과 자존감을 강조하는 BTS의 ‘러브 마이셀프’ 캠페인이 여성과 유색인종에게 크게 소구했다는 분석도 소개했다. 새이지 교수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적지 않은 케이팝 팬들은 유색인종이거나 성소수자 집단에 속해 있다”며 “이들이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캠페인을 응원하고, 트럼프 대통령에 반대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6-24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