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안 틀린다”… 여론조사기관도 운명 건 승부

“이번엔 안 틀린다”… 여론조사기관도 운명 건 승부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11-02 18:18
업데이트 2020-11-03 0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동층 줄어 4년 전보다 민심 파악 수월
저학력 백인 비중 높이고 경합주 초점도

바이든과 트럼프 2020.11.2 AFP·로이터 연합뉴스
바이든과 트럼프 2020.11.2 AFP·로이터 연합뉴스
이번 미국 대선에서는 4년 전 힐러리 클린턴의 승리를 점쳤다가 망신살이 뻗쳤던 여론조사기관들의 명예회복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당시 조사기관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경합주에서 막판 판세를 뒤집어 선거인단을 쓸어 담을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고 결국 ‘최악의 여론조사’라는 오명을 써야 했다.

일단 미 매체들은 2016년의 ‘흑역사’가 되풀이되진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무엇보다 이번 대선은 4년 전과 달리 부동층이 크게 줄어들어 여론조사기관들로서는 민심을 파악하기가 더 쉬워졌다는 분석이 나오기 때문이다. 정치 예측 전문 블로그 ‘파이브서티에이트’의 운영자 네이트 실버는 인터넷 매체 복스와의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2016년 대선의 부동층은 13~14%였지만, 올해는 6% 정도”라며 “이는 꽤 큰 차이점”이라고 말했다.

특히 올해 여론조사기관들은 대학 학위 미만 계층에 대한 표본을 늘려 학력 변수에 대한 가중치를 다시 설정했다. 4년 전 조사에서는 저학력 백인 유권자들의 표심이 크게 누락되며 트럼프의 숨은 지지 여론을 읽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일부 기관들은 주요 경합주 위주로 예산과 시간을 투입해 여론조사의 품질을 높이기도 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여론조사기관들은 중간선거 성격의 2018년 상·하원 선거 예측에서 비교적 선방하기도 했다.

하지만 수면 아래 드러나지 않은 민심의 크기가 어느 정도일지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 일말의 불안감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실버도 2016년과 올해 여론조사를 비교하며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 4년 전보다 낮을 뿐”이라고 전제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11-03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