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 SNS 연대·신뢰 잃은 가톨릭… 남미 ‘낙태죄 폐지’ 다시 불붙어

女 SNS 연대·신뢰 잃은 가톨릭… 남미 ‘낙태죄 폐지’ 다시 불붙어

김정화 기자
입력 2020-12-02 22:14
업데이트 2020-12-03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르헨티나 낙태 합법화 법안 논의
온라인서 국경 초월한 낙태죄 저항
성직자들 성적 학대에 불신 높아져

국내에서 낙태죄 폐지를 주장하며 여성들이 국회 앞 1인 시위를 이어 가는 가운데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 남미에서도 낙태 합법화 주장에 다시 불이 붙었다. 이들 국가는 인구 대다수가 가톨릭 신자인 탓에 인공 임신중절이 엄격히 금지됐는데, 국경을 초월한 온라인 여성연대가 활발해지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텔람 통신 등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하원은 낙태 합법화 법안과 관련한 논의를 시작했다.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지난달 임신 14주 이내에 낙태를 허용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한 데 따른 것이다. 아르헨티나는 2018년에도 낙태 허용 법안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 당시 법안은 하원을 통과했으나 상원에서 부결됐는데, 이번에는 처음으로 정부가 낙태 허용 법안을 발의하며 낙태죄 폐지가 힘을 얻는 모양새다.

특히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 전 세계적으로 낙태죄 폐지가 대두되면서 이들 국가에서도 여성만 죄로 처벌하는 ‘악법’을 없애자는 논의가 활발해졌다. 아르헨티나에선 2018년 100만명이 넘는 여성들이 낙태죄 합법화를 주장하며 ‘녹색 물결’ 시위를 벌였다. 모바일 메신저 등을 통해 모인 이들은 초록색 스카프와 손수건을 흔들며 낙태죄에 저항했고, “한 명도 더 잃을 수 없다”는 뜻의 ‘니 우나 메노스’(Ni una menos) 구호는 멕시코, 콜롬비아 등 남미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그간 이들 국가를 떠받치는 근간이었던 가톨릭 신앙에 대한 믿음이 무너진 것도 한몫했다. 로이터 통신은 “성직자들의 성적 학대가 알려지면서 태아의 생명이 수정 때부터 시작된다고 믿는 가톨릭 교회에 대한 신뢰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짚었다. 인구의 70%가 가톨릭 신자로 알려진 남미에서는 우루과이와 쿠바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아직도 낙태를 전면 금지한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20-12-03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