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우크라 지원·러 제재 공언
日, 7조원 추가 등 후속지원 동참튀르키예 반도체 등 대러 수출금지
재정지원 꺼리는 美여론은 ‘변수’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 쇼팽 공항에 도착해 비행기에서 내리고 있다. 바르샤바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1/SSC_20230221165058_O2.jpg)
바르샤바 A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 쇼팽 공항에 도착해 비행기에서 내리고 있다. 바르샤바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1/SSC_20230221165058.jpg)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 쇼팽 공항에 도착해 비행기에서 내리고 있다.
바르샤바 AP 연합뉴스
바르샤바 AP 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러시아의 잔인한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미국과 서방이 단결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자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3월 이곳에서 “이 사람(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권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발언해 미국이 푸틴 축출을 도모한다는 논란이 일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오전 8시 키이우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나 “1년 전 어두운 밤 우크라이나는 멸망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1년 뒤 키이우는, 우크라이나는, 민주주의는 건재하다”고 밝혔다. 이어 5억 달러(약 6500억원)의 추가 군사지원과 대러 추가 제재 등을 공언하며 “필요한 만큼” 우크라이나와 함께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그는 “우리는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연합을 구축했다. 세계 50개 이상의 국가가 우크라이나가 스스로 방어할 수 있도록 도우려 일어섰다”고 말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우크라이나에 55억 달러(7조원) 규모의 추가 지원을 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스테펜 헤베스트라이트 독일 정부 대변인은 “(바이든의 방문은) 좋은 신호”라고 평가했다. 튀르키예는 반도체, 화학제품 등 전쟁에 쓰일 수 있는 상품들에 대해 대러 수출을 금지했다.
디아틀랜틱은 바이든 대통령의 키이우 방문에 대해 “자신의 의지가 바이든 대통령보다 강하다는 푸틴의 마지막 희망을 파괴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 타임지는 “비밀경호국과 국방부의 반대에도 바이든 대통령이 키이우에 갔다”며 우크라이나 부대의 사기를 높이기도 했지만, 더이상의 대규모 무기·재정 지원을 꺼리는 미국 내 대중을 겨냥한 것으로 봤다. 미 공화당에서도 ‘백지수표는 없다’는 주장을 펴기까지 해 그가 서방의 결속만큼 자국 내 단합에 성공할지가 향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02-2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