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헌 논란에도 3선 도전 시사한 트럼프… “농담 아냐, 방법 있다”

위헌 논란에도 3선 도전 시사한 트럼프… “농담 아냐, 방법 있다”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5-03-31 23:55
수정 2025-03-31 2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터뷰서 “많은 사람이 원해” 주장
레임덕 대비·파워 과시 의도 분석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헌법이 금지한 대통령 3선 도전을 진지하게 언급해 미 정가에 파장이 일고 있다. 30일(현지시간) 그가 “농담이 아니다”라는 말로 2028년 재출마 화두를 던지면서 불가능으로 여겨졌던 3선 출마가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NBC 전화 인터뷰에서 3선 도전에 대한 질문에 “나는 일하는 것을 좋아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많은 사람이 내가 그것을 하길 원한다”며 “나는 그들에게 우리는 갈 길이 멀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아직 초기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는 현재에 집중하고 있다. 그것에 대해 생각하기엔 너무 이르다”고 덧붙였다. 3선 출마와 관련한 계획을 묻는 말에는 “그럴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이날 플로리다주에서 백악관으로 복귀하는 대통령 전용기 안 문답에서도 “내게 3선, 사실상 4선을 하라는 요청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2020년 선거가 완전히 조작됐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4번째 임기”라고 주장했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3회 서울시 상점가·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토론회 개최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2일 서울시의회 별관 제2대회의실에서 서울시 상점가와 전통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제3회 서울시 상점가·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를 (사)서울시상점가전통시장연합회(이하 연합회)와 공동 주관으로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김 의원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서울시의회 최호정 의장, 더불어민주당 성흠제 대표의원, 도시안전건설위원회 강동길 위원장, 서울시 김병민 정무부시장, 연합회 반재선 이사장의 축사가 이어졌으며, 행사장에는 서울시의회 시의원, 연합회 회원 등 약 100여명이 참석해 상점가·전통시장 관련 현안에 대한 세 번째 소통 시간을 가졌다. 김 의원은 개회사에서 “이번 토론회 역시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마련된 뜻깊은 자리”라며 “오늘 토론회를 통해 논의를 내용들은 지난 1회와 2회 토론회에서 도출된 내용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정리해 실효성 있는 정책안을 마련할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상점가와 전통시장 상인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해 서울시의회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3회 서울시 상점가·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토론회 개최
미국의 수정헌법 22조는 ‘누구도 대통령직에 두 번 이상 선출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2번 이상’은 연임 여부와 관계없다는 게 일반적 해석이다. 3선 도전을 위해선 헌법 개정이 필요하다. 개헌은 연방의회 상하원 3분의2의 찬성이나 50개 주의회 중 3분의2 동의로 발의할 수 있다. 이후 50개 주의회 4분의3이 비준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트럼프 재선 직후 공화당 소속 앤디 오글스 테네시주 하원의원이 3선 개헌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그의 3선 도전 언급이 레임덕을 피하거나 자신의 힘을 과시하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2025-04-0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