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성공했다고 샴페인 터뜨리면 안 되는 인도 사례들

방역 성공했다고 샴페인 터뜨리면 안 되는 인도 사례들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5-09 09:53
업데이트 2020-05-09 09: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감염 400만 육박, 한국 38번째 많은 나라지만

세계적 관광 명소 타지마할이 있는 아그라 시는 한때 인도에서도 손꼽히는 방역 모델로 인정됐으나 지난달 다시 감염 환자가 속출해 샴페인을 일찍 터뜨리면 안되는 사례로 꼽히고 있다. 아나돌루 통신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세계적 관광 명소 타지마할이 있는 아그라 시는 한때 인도에서도 손꼽히는 방역 모델로 인정됐으나 지난달 다시 감염 환자가 속출해 샴페인을 일찍 터뜨리면 안되는 사례로 꼽히고 있다.
아나돌루 통신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한국도 ‘이태원 클럽발(發) 리스크’로 다시 지역사회 감염이 불붙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8일 서울 시내 커피숍에도 젊은이들이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북적였고, 거리 곳곳에 마스크를 걸치지 않은 이들이 심심찮게 눈에 띄었다.

방역에 성공했다고 경계를 느슨히 하면 코로나19는 언제든 재확산한다는 사례는 싱가포르를 비롯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 지구촌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 영국 BBC가 이날 “성공 모델”이라고 자축하는 일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인도 사례를 들어 조명해 눈길을 끌고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타지마할이 있는 북부 아그라 시는 지난 3월 초, 인도에서도 빠른 시기에 코로나19 감염병이 확산됐다. 그 달 내내 환자가 늘어났지만 속도를 늦췄다며 “아그라 모델”이란 이름 아래 다른 지역들이 본배울 것을 강조하는 보도가 잇따랐다. 소셜미디어에선 해시태그가 생겨났고, 연방정부는 찬사 일색이었으며, 우타르 프라데시주의 요기 아디탸나스 수석 장관은 방역에 성공했다고 칭찬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국가 봉쇄령이 내려진 인도 하이데라바드의 이주 노동자들이 8일(현지시간) 고향 마을로 돌아가기 위해 걸어가고 있다. 하이데라바드 AP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국가 봉쇄령이 내려진 인도 하이데라바드의 이주 노동자들이 8일(현지시간) 고향 마을로 돌아가기 위해 걸어가고 있다.
하이데라바드 AP 연합뉴스
그러나 4월이 시작하자 상황이 급변했다. 매일 감염 건수가 곱절로 늘어났다. 초기 방역에 성공했다고 오판하게 만든 것은 발병 지역을 엄격히 봉쇄하고 감염 환자들을 완전 격리시킨 데 있었는데 바이러스는 계속 새로운 지역을 찾아내 확산했다. 이에 따라 당국은 공격적으로 검사 건수를 늘리기로 했다. 이제 아그라 시는 이 주의 어느 다른 도시보다 많은 600명의 환자로 아그라 모델이란 말은 쏙 들어갔다.

저명 병리학자인 샤히드 자밀 박사는 “그런 예찬은 경계심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를 포함해 많은 전문가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게 적으며 지난해 말에야 나타나기 시작해 연구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예를 들어 가래침에서도 30일까지 바이러스가 살아 남을 수 있다는 것도 최근에야 알게 됐다.

자밀 박사는 “당신이 환자 모두를 치료한 뒤에도 승리했다고 느낄 수 없는 이유”라며 “조금도 방심하지 않는 것(Being vigilant)만이 유일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또 하나 문제는 다른 지역이나 도시에서 방역에 성공했다고 무조건 따라하는 일이다. 감염학자 랄릿 칸트는 “이런 모델들은 지역 특성을 따라야지, 복제될 수는 없는 일이다. 특정 집단의 사례가 모두에 맞을 수는 없다. 물론 우리는 다른 모델로부터 배울 수는 있다”고 말했다.

케랄라주는 몇년 동안 보건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 해서 처음 발병했을 때 잘 준비돼 있었다. 관리들은 감염자를 빨리 찾아내 신원을 공개하고, 격리시키며, 치료하는 전략을 채택했다. 접촉자를 추적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했고 감염원으로 의심되는 곳을 찾아내 봉쇄했다.

하지만 당국은 성공 모델로 불리는 데 조심스러워 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다시 확산하고 있었다. 감염 경로를 파악할 수 없는 사례들이 적잖았다. “이 바이러스는 전염력이 너무 빨라” 상황이 급변할 수 있어 어느 누구도 마음을 놓을 수가 없다. A 파타후딘 박사는 “성공한 모델이라고 자축하면 시신들을 잔뜩 보게 될 것”이라고 섬뜩하게 경고했다. 이어 과학자들이 어떤 모델이 성공했는지 연구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그럴 시간이 충분히 없다고 지적했다. 또 정치인들이 어떤 과학적 승인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성공을 자축하기 시작할 때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며 “그들은 케랄라주에서 했던 일들이 뭄바이의 다라위 같은 밀집된 빈민가에서는 먹히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때로는 인식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칸트 박사는 이런 성공 모델의 대다수가 “사람들을 집 밖에 나오지 못하게 가둔” 데 의존한다며 “바이러스를 가둔 것과는 거리가 멀다. 해서 개인의 습관, 인구 밀집도, 여행 이력, 공중보건 인프라 등 모든 요소가 작동한다. 따라서 어떤 모델은 채택될 수 있고 어떤 모델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회적(물리적) 거리 두기만으로 첫 파고를 잘 막아 성공 모델로 극찬 받은 싱가포르는 두 번째 파고를 맞고 봉쇄 정책으로 돌아섰다. 마운트 엘리자베스 노베나 병원의 감염내과 전문의 러옹 호에 남 박사는 “이 바이러스는 뱀처럼 교활해 위험은 도처에 도사리고 있고 언제든 돌아온다”며 “지름길을 택하거나 자축하면” 순식간에 망쳐버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슈퍼 전파자 한 명이 당신이 거둔 성공 모두를 순식간에 엎어버리게 된다. 세상 어느 나라도 그럴 수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9일 오전 9시(한국시간)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187개 나라와 지역의 코로나19 감염자는 393만 5764명, 사망자는 27만 4651명인 가운데 한국은 1만 822명으로 38번째로 확진자가 많다. 한국보다 한참 아래 쪽에 있던 싱가포르는 2만 1707명으로 어느새 26번째다. 하지만 이 나라 사망자 수는 20명으로 어떤 나라보다 적다. 이탈리아는 3만 201명의 사망자로 미국(7만 7178명)과 영국(3만 1315명)에 이어 세계 세 번째, 유럽연합(EU) 최초로 3만명을 넘었다. 스페인(2만 6299명)과 프랑스(2만 6233명)의 격차는 66명 밖에 안 된다.

하지만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게 아니다. 이 순위는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