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교황청이 주교 임명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를 이루면서 양측 간 관계 정상화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홍콩 문회보가 20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과 교황청이 지난 4년간 끌어 온 주교 임명 협의안에 대한 기본틀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중국과 교황청은 1951년 교황청이 타이완 정부를 인정한 뒤 단교했다. 중국 정부는 자국 내 가톨릭 신도를 관리하기 위해 1957년 관제 단체인 천주교애국회를 만들어 자체적으로 주교를 임명해 왔다. 교황청은 주교 임명은 교황청의 고유 권한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파문하겠다”는 경고장을 보내는 등 양측 간 갈등이 계속돼 왔다.
협의안은 중국 내 지역 교구별로 1~2명의 주교를 자체 선발한 뒤 외교적 루트를 통해 교황청 측에 통보하고, 중국 당국과 교황청 양측 모두 이에 동의할 경우 주교로 임명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소식통은 또 “중국 측이 주교 임명 협의안을 교황청 측에 전달해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면서 “이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쯤 교황청이 중국에 답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중국 정부가 지난 8월 한국을 방문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전세기가 자국 상공을 통과하도록 허용하면서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가 나온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신문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과 교황청이 지난 4년간 끌어 온 주교 임명 협의안에 대한 기본틀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중국과 교황청은 1951년 교황청이 타이완 정부를 인정한 뒤 단교했다. 중국 정부는 자국 내 가톨릭 신도를 관리하기 위해 1957년 관제 단체인 천주교애국회를 만들어 자체적으로 주교를 임명해 왔다. 교황청은 주교 임명은 교황청의 고유 권한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파문하겠다”는 경고장을 보내는 등 양측 간 갈등이 계속돼 왔다.
협의안은 중국 내 지역 교구별로 1~2명의 주교를 자체 선발한 뒤 외교적 루트를 통해 교황청 측에 통보하고, 중국 당국과 교황청 양측 모두 이에 동의할 경우 주교로 임명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소식통은 또 “중국 측이 주교 임명 협의안을 교황청 측에 전달해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면서 “이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쯤 교황청이 중국에 답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중국 정부가 지난 8월 한국을 방문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전세기가 자국 상공을 통과하도록 허용하면서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가 나온 바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11-2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