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 한궈위, 대선 패배 이어 시장직 파면 위기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 한궈위, 대선 패배 이어 시장직 파면 위기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6-04 18:17
업데이트 2020-06-04 18: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에만 매달리다가 시장 일 내팽개쳐” 주민소환...6일 투표

지난해 말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대선 후보 마지막 TV 토론에 참여한 만진당 후보인 차이잉원 총통(왼쪽)과 국민당 후보인 한궈위 가오슝 시장. 서울신문 DB
지난해 말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대선 후보 마지막 TV 토론에 참여한 만진당 후보인 차이잉원 총통(왼쪽)과 국민당 후보인 한궈위 가오슝 시장.
서울신문 DB
지난 1월 대만 대선에서 국민당 후보로 출마해 차이잉원 총통에게 패배한 한궈위 가오슝 시장이 시장 자리마저 빼앗길 위기에 놓였다. 대선에만 몰두해 시정을 내팽개쳤다는 이유다. ‘신선 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말이 생각하는 대목이다.

4일 대만 중앙통신에 따르면 시민단체 ‘위캐어(Wecare)가오슝’이 주도한 주민 소환 투표가 오는 6일 가오슝에서 열린다. 이 단체는 “한 시장이 시정을 돌보지 않고 대선에만 매달려 지역이 위태해졌다”며 투표를 발의했다.

가오슝시 전체 유권자 228만명 가운데 10%가 넘는 37만 7000명이 동의 서명에 참여해 소환 투표 요건이 성립됐다. 투표에서 파면 찬성이 반대보다 많고 파면에 찬성한 이가 전체 유권자의 4분의 1인 57만 4996명을 넘으면 시장직을 잃는다. 대만에서는 한 시장의 파면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빈과일보가 지난달 12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한 시장 파면 찬성 비율(65%)은 반대 비율(20.4%)을 세 배 가까이 앞섰다. 실제 파면 결정이 나오면 한 시장은 대만 역사상 유권자들에게 소환된 첫 지방자치단체장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된다. 파면이 확정되면 6개월 이내에 보궐선거가 치러진다.

중국 국공내전 패배로 장제스(1887∼1975) 전 총통이 대만으로 정부를 옮긴 1949년을 기준으로 그 이전부터 대만에 뿌리를 내리고 살던 이들을 ‘본성인’, 장제스와 함께 대만으로 넘어온 이들을 ‘외성인’으로 부른다. 외성인들은 국민당을 세워 권력을 독점하고 본성인을 차별해 왔다. 지금은 많이 희석됐지만 대만에서는 외성인과 본성인의 앙금이 여전히 남아 있다. 국민당에 반대해 민주화 운동을 이끈 민진당은 주로 본성인에게 지지를 받았다. 타이베이가 국민당의 대표적 지지 지역이라면 가오슝은 민진당의 ‘정치적 텃밭’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시장은 국공내전 뒤 대륙에서 건너 온 외성인의 후예다. 국민당에 오랜 기간 몸 담았지만 인지도가 낮아 ‘정치낭인’으로 생활해 왔다. 2017년 당 지도부는 그를 가오슝 지역위원장에 임명했다. 보수정당에서 진보 성지에 후보를 배치한 것이어서 사실상 ‘버리는 카드’로 쓴 것이다. 하지만 그는 이를 악물고 당의 비웃음을 해쳐 나갔다. 날마다 시민들을 만나며 자신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집권 민진당의 부정부패에 질린 가오슝 주민들은 그의 ‘무모한 도전’을 신선하게 받아 들였다. 결국 2018년 지방선거에서 가오슝 시장에 당선되는 파란을 일으켰다. 그는 곧바로 국민당의 간판 주자로 떠올랐고 여세를 몰아 대권에 도전했다.

한때 그의 지지율은 차이 총통을 압도했지만 지난해 홍콩 민주화 시위를 계기로 대만 내 반중 정서가 급속히 커지면서 8월 이후 추락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