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문 닫는 유럽

다시 문 닫는 유럽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10-06 20:54
업데이트 2020-10-07 0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 확진 폭증·사망률 70일째 상승
체코 3월 이어 다시 국가비상사태 선포
스페인 이동금지… 파리도 재봉쇄 임박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최고 경계령이 내려진 프랑스 파리에서 5일(현지시간) 한 술집 종업원이 가게 밖 의자들을 치우고 있다. 파리는 6일부터 2주간 술집과 카페 운영이 중단됐고 식당은 엄격한 보건수칙을 준수한다는 조건으로 영업이 허용됐다. 파리 AP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최고 경계령이 내려진 프랑스 파리에서 5일(현지시간) 한 술집 종업원이 가게 밖 의자들을 치우고 있다. 파리는 6일부터 2주간 술집과 카페 운영이 중단됐고 식당은 엄격한 보건수칙을 준수한다는 조건으로 영업이 허용됐다.
파리 AP 연합뉴스
유럽이 가을에 접어든 이후 코로나19 2차 대유행 추세가 뚜렷하다. 유럽연합(EU) 31개국 중 4개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서 코로나 경보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등 감염자가 폭증하고 있다. 이에 올봄 1차 대유행 당시 강력한 봉쇄로 문을 걸어 잠갔던 유럽 각국이 재봉쇄 등 비상국면에 들어갔다.

5일(현지시간)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CDC)가 낸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연합 31개국 중 4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가 모두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수 20명 이상인 ‘코로나19 확산 경보’ 기준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체코가 167.6명으로 가장 많았고 네덜란드(140.3명), 프랑스(120.3명) 순이었다. 경보 기준을 밑도는 국가는 독일(18.4명), 핀란드(15.5명), 키프로스(14.6명), 노르웨이(13.9명)뿐이었다. 특히 체코는 지난봄 1차 대유행 당시 코로나 방역을 잘한 동유럽 국가군에 포함됐지만, 최근 들어 동유럽 내 코로나 급속 확산의 거점이 되고 있다.

ECDC는 최근 코로나 사망률이 70일째 상승 중이고 확진자 수 역시 급속한 증가 추세라고 경고했다. 코로나는 EU 수뇌부까지 파고든 모양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지난달 29일 참석했던 회의의 보좌진 한 명이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이날 자가격리에 들어가기도 했다.

유럽 각국은 속속 봉쇄 조치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체코는 지난 3월에 이어 두 번째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해 술집·식당에서 6명 이상 모이는 게 금지됐다. 아일랜드 보건당국은 전국을 방역단계 최고수준인 5단계로 올릴 것을 정부에 권고했다. 필수업종을 제외한 모든 소매업소는 문을 닫고 자택 5㎞ 바깥에선 운동이 금지된다.

프랑스 파리 역시 재봉쇄 조치가 임박했다. 장 카스텍스 총리는 파리를 ‘최대 경계’ 지역으로 분류해 6일부터 술집 문을 닫을 것을 지시했다. 유럽 내 확진자가 가장 많은 스페인은 수도 마드리드 등 10개 지역에 대해 2주간 타 지역 이동 금지령을 내렸다.

아이슬란드는 지난 5일부터 19일까지 체육관과 술집, 클럽, 카지노 등이 문을 닫고 장례식 등을 제외하곤 20명 이상 모임을 할 수 없다. 초·중등학교는 개교를 이어 가지만 대학은 25명 이상 같은 공간에 모일 수 없다.

5일 영국은 지난달 25일부터 지난 2일 사이 기술적 문제로 코로나 확진자 1만 5841건이 통계수치에서 누락됐다고 시인하면서 발칵 뒤집히기도 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20-10-07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