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3/SSI_2021032308040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3/SSI_20210323080406.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3/SSI_2021032308043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3/SSI_2021032308043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3/SSI_2021032308052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3/SSI_2021032308052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3/SSI_2021032308152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3/SSI_20210323081528.jpg)
지난 19일 밤(이하 현지시간) 아이슬란드 수도 레이캬비크 근처 파그라달스피아들 화산이 분출했는데 엔지니어라고 직업을 밝힌 울바르 카리 요한손(21)은 AFP 통신에 “정말 숨이 멎을 것 같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 화산이 용암을 뿜어낸 것은 800여년 만의 일로 다음날 오후부터 용암이 흘러내리는 것을 보겠다는 이들이 몰려 북적였다. 레이캬비크에서 남서쪽으로 약 30㎞ 떨어진 곳이다.
분출 직후에는 이곳 일대로의 접근이 차단됐으나 하룻만에 트레킹이 허용돼 한때 수천명까지 인파가 불어났다고 영국 BBC는 22일 전했다.
‘얼음과 불의 나라’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느냐를 놓고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 같지만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지난 3주 동안 5만여회의 지진 활동이 감지됐는데도 이렇게 용암 흘러내리는 장관을 놓치지 않겠다고 모여들고 있다.
이번에 쏟아져 내려온 용암의 양은 대략 30만㎥라고 전문가들을 말하는데 이 정도 분출이면 비교적 작고 통제된 규모라고 했다.
그러나 결국 22일 다시 트레킹이 폐쇄됐다. 가스 오염 수치가 너무 높다는 판단에서다.
아이슬란드는 100여개에 달하는 화산 일대에서 지진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2010년에는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 폭발로 유럽 하늘이 화산재로 뒤덮이는 대혼란을 빚었다. 2014년 8월에는 동부 바우르다르붕카 화산이 활성화되면서 최고 단계인 적색경보가 발령됐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레이캬비크 AFP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