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도안과 푸틴 또 엇박자 “러, 흑해곡물협정 연장 합의” “그런 적 없어”

에르도안과 푸틴 또 엇박자 “러, 흑해곡물협정 연장 합의” “그런 적 없어”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7-15 06:31
업데이트 2023-07-15 0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산 곡물을 실은 화물선 데스피나 5호가 지난해 11월 2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 근처 킬요스 항구 앞 흑해를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 자료사진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산 곡물을 실은 화물선 데스피나 5호가 지난해 11월 2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 근처 킬요스 항구 앞 흑해를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 자료사진 연합뉴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를 전후로 튀르키예와 러시아가 흑해곡물협정과 8월 정상회담 등을 둘러싸고 잇따라 엇박자를 내고 있다.

AFP와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우리는 8월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환영할 준비를 하고 있다. 또한 우리는 흑해곡물협정의 연장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푸틴 대통령과 흑해곡물협정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고도 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에르도안 대통령의 발언 이후 즉각 반박 입장을 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인테르팍스 통신에 “러시아는 흑해 곡물협정에 대한 입장을 발표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7월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로 흑해를 통한 곡물 및 비료의 수출을 보장하는 흑해 곡물협정을 맺었으나, 러시아는 자국 관련 합의 사항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면서 협정을 탈퇴할 수 있다고 위협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최초 120일간 유효한 계약 대신 한시적으로 두 달간 연장하는 조치를 세 차례 연장한 협정은 오는 17일 기한이 만료된다.

흑해곡물협정은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사상 최고치로 급등한 세계 식량 가격을 낮추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됐다. 하지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튀르키예, 유엔 등 4자가 참여하는 선박 합동 검사를 늦추고, 선박의 운송을 거부하면서 흑해의 곡물운송량은 이미 급감한 상태다. 일일 평균 선박 검사 횟수는 11월 11회였다가 지난달에는 2회로 떨어졌고, 이에 따라 지난해 10월 420만t이었던 곡물 운송량이 지난달 200만t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흑해곡물협정이 폐기되면 식량 위기가 재연될 가능성이 높아 우려된다.

최근에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국제 금융 네트워크에 대한 재연결을 요구하는 러시아의 요구와 관련한 협상안을 담은 서한을 푸틴 대통령에게 보냈다. 하지만 전날 푸틴 대통령은 해당 서한을 보지 못했다면서 요구 사항이 충족되지 않으면 협정을 탈퇴할 것이라는 입장을 되풀이했다.크렘린궁도 이날 브리핑에서 상황에 변동이 없음을 재확인했다.

튀르키예와 러시아는 푸틴 대통령의 8월 튀르키예 방문 여부를 두고도 엇갈린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지난 7일 “다음달 푸틴 대통령이 튀르키예에 올 것”이라고 말한 뒤 여러 차례 같은 발언을 했지만, 크렘린궁은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튀르키예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 러시아를 비난하면서도 서방의 대(對)러시아 제재에 동참하지 않는 등 친러시아 행보를 펼쳐왔다. 러시아도 튀르키예를 통해 무역 제재를 회피하는 등 전쟁 기간 양국 협력 관계가 꾸준히 강화됐다.

그러나 튀르키예는 지난 11~12일 열린 나토 정상회의를 앞두고 스웨덴의 나토 가입에 동의해주고, 우크라이나와 정상회담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지지하는 입장도 내놨다. 또한 튀르키예에 머무른다는 조건으로 포로 교환 석방에 합의했던 우크라이나군 지휘관들이 귀국할 수 있도록 용인해 러시아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서방에서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심각한 경제난 타개를 위해 서방과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양국 관계에 이상 기류가 흐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