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기자 “스가 기자회견, 정말 지긋지긋해…기자들도 문제“ 비판

佛기자 “스가 기자회견, 정말 지긋지긋해…기자들도 문제“ 비판

김태균 기자
입력 2020-12-29 12:46
업데이트 2020-12-29 1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리는 답변 원고 기계적 낭독…기자들은 비판없이 순응

이미지 확대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 2020.9.16 사진=연합뉴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 2020.9.16 사진=연합뉴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대국민 소통 능력에서 낙제점에 가까운 혹평을 받고 있다. 기자회견에서 실무 관료들이 써준 답변 원고를 단조로운 억양으로 그저 읽기만 한다든지, “대답을 삼가겠다”며 주요 이슈에 대한 언급을 회피한다든지 하는 일이 잦기 때문이다. 언론도 이에 대해 불만은 갖고 있지만, 상황을 개선해 보려는 노력은 거의 하지 않는다. 정치권력자와 언론간 소통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유럽 베테랑 기자의 눈에는 이러한 행태가 어떻게 비쳐질까.

프랑스 3대 종합일간지인 리베라시옹의 도쿄 특파원 카린 니시무라(50)는 29일 닛칸겐다이(일간현대)와 가진 인터뷰에서 “스가 총리는 아베 신조 정권 때의 관방장관 시절이나 총리가 된 지금이나 진정한 기자회견을 한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카린은 15년간 AFP통신 도쿄 특파원을 지낸 것을 비롯해 23년에 걸쳐 일본 사회를 취재해 왔다.

“기자가 총리관저에 미리 전달한 질문지를 바탕으로 관료들이 답변 원고를 만들면 스가 총리는 이를 그저 읽기만 할 뿐입니다. 그걸 들으며 기자들은 열심히 타이핑을 하는데, 그럴거면 차라리 답변 원고를 나눠주면 좋을 텐데요. 스가 총리는 간혹 날카로운 질문이 나오면 자기 표현을 약간 넣어 답변을 시작하지만 결국에는 다시 메모 읽기로 돌아갑니다. 아베 전 총리보다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카린 니시무라 트위터.
카린 니시무라 트위터.
그는 “프랑스 대통령 기자회견에는 많으면 200명 이상 기자가 참석해 질의를 하며 사전에 질문지를 주지 않고 대통령도 답변 원고를 보지 않는다”고 했다. “손을 든 기자들이 전원 질문을 마칠 때까지 대통령이 자신의 말로 답변을 합니다. 그것은 정치가의 책무 중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카린은 총리의 미흡한 답변에 대해 보충질문을 할 수 없는 일본 기자회견 시스템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실제로 지난 25일 스가 총리 기자회견에서 진행자가 기자의 재질문을 막는 일이 있었다.

“정말 지긋지긋합니다. 제대로 된 답변을 회피하는 것을 용납하는 구조인거죠. 재질문 금지는 기자의 ‘알 권리’를 가로막는 것이자 보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입니다.”

언론 쪽에도 문제가 있다고 카린은 지적했다. “총리의 대답이 부실하면 다음 순서에 질문하는 기자가 그 부분을 파고들면 될텐데 그렇게 하지 않는다”며 “기자들 역시 준비한대로만 질문하고 애드립이 없다 보니 총리도 기자도 모두 정해진 각본대로 움직인다는 느낌”이라고 했다.

그는 “지금과 같은 국어책 읽기식 회견은 총리에게만 유리한 것”이라면서 “총리가 자신의 말로 회견을 하게 만들려면 사전 질문지 전달을 중단하고 재질문도 할 수 있도록 (총리관저에) 요구해야 한다”고 일본 언론에 일침을 날렸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