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일본, 최악의 시나리오”···도쿄올림픽, 결국 ‘무관중’ 올림픽

“일본, 최악의 시나리오”···도쿄올림픽, 결국 ‘무관중’ 올림픽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7-09 00:50
업데이트 2021-07-09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흐 IOC 위원장 “안전한 대회 위한 어떤 결정도 지지”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주 경기장인 일본 국립경기장 관중석 전경. 연합뉴스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주 경기장인 일본 국립경기장 관중석 전경. 연합뉴스
도쿄 등 수도권 경기장 무관중 결정


올해 도쿄올림픽이 코로나19 영향으로 도쿄 등 수도권 경기장 중심으로 무관중 형태로 열리게 됐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8일 저녁 관중 수용 문제를 재논의하는 올림픽 관련 5자 회의에 이어 관계 지자체와의 협의회를 잇따라 열어 도쿄도, 사이타마·가나가와·지바현 등 수도권 1도·3현에서 예정된 모든 경기를 무관중으로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도쿄올림픽은 도쿄 등 수도권 4개 지역을 비롯한 9개 도도현(광역자치단체)의 42개 경기장에서 펼쳐진다.

하지만 대부분 경기장은 수도권 4개 지역에 집중돼 있다.

올림픽 관련 5자는 이날 도쿄의 긴급사태 선포 결정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해 수도권 경기장의 무관중 운영 방침을 확정했다.

그러나 미야기, 후쿠시마, 이바라키, 시즈오카 현 등 4개 지역에선 수용 정원의 50% 범위에서 최대 1만 명까지 입장을 허용하는 쪽으로 결정됐다.

홋카이도는 구체적인 방침을 놓고 조정 중이다.
이미지 확대
도쿄올림픽이 개최되는 국립경기장 앞에 설치된 오륜기 조형물.  AFP 연합뉴스
도쿄올림픽이 개최되는 국립경기장 앞에 설치된 오륜기 조형물.
AFP 연합뉴스
긴급사태 재선포 등으로 ‘최대 1만 명 수용’ 방침 백지화
일본 정부는 이날 스가 요시히데 총리 주재의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12일부터 내달 22일까지 6주 동안 도쿄 지역에 4번째 긴급사태를 발효하기로 했다.

오는 23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내달 8일까지 이어지는 도쿄올림픽 전 기간을 포함한다.

도쿄의 긴급사태 선포는 작년 4월, 올해 1월과 4월에 이어 이번이 4번째다.

일본 정부는 애초 11일까지 기한으로 도쿄에 적용하기로 했던 ‘만연 방지 등 중점조치’를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최근 확진자가 급증 추세를 보이자 수위가 한 단계 높은 긴급사태 재선포 카드를 선택했다.

일본 정부는 또 가나가와현 등 수도권 3개 광역지역의 기존 중점조치를 도쿄 긴급사태 기간에 맞춰 내달 22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도쿄올림픽 경기장의 관중 수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8일 열린 올림픽 관련 5자 회의에서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회장이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도쿄올림픽 경기장의 관중 수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8일 열린 올림픽 관련 5자 회의에서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회장이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지난 3월 IOC 등과 협의해 해외 관중을 받지 않기로 했다.

지난달 21일에는 경기장 당 정원의 50% 범위에서 최대 1만 명까지 국내 관중 입장을 허용키로 하면서 이달 12일 이후로도 긴급사태나 중점조치가 적용되는 상황일 경우에는 무관중 개최를 포함하는 대책을 다시 검토하기로 했다.

이후 개최지인 도쿄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는 바람에 결국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대부분의 경기가 무관중 개최로 결론이 났다.

이런 결정은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관중을 넣고 여는 올림픽에 대한 일본 내의 부정적 여론을 의식한 대응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쿄신문이 지난달 26~27일 도쿄도 유권자 1007명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에 따르면, 유관중 개최에 대해 코로나19를 확산시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 79.8%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유관중 개최에 집착하던 스가 총리는 도쿄 지역에서 표출된 민심이 올가을 예정된 총선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다수 여론이 원하는 무관중 개최 쪽으로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