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영도교 단종 부부 생이별 상징으로 부활

청계천 영도교 단종 부부 생이별 상징으로 부활

입력 2010-03-17 00:00
업데이트 2010-03-17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배지 영월 동강 하천석 설치…‘500년만의 해우’ 상징물도

조선 6대 왕 단종과 그의 비(妃) 정순왕후의 슬픈 이별 이야기를 간직한 서울 청계 7가와 청계 8가 사이의 영도교(永渡橋)에 전설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설치되고 문화행사가 열린다.

 단종이 숙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강원도 영월로 유배가던 날 정순왕후 송씨가 따라와 이생에서의 마지막 작별을 고한 곳이 바로 영도교이다.

 당시 단종의 나이는 겨우 열여섯이었고 정순왕후는 열일곱이었다.

 원래 왕심평대교(旺尋坪大橋)라는 이름의 이 다리는 단종 부부의 생이별 이후 영영 건너가 이별한 다리라 하여 영도교라 불리게 됐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7일 서울시설공단에 따르면 영도교 아래에는 영월 동강에서 가져온 하천석이 놓인다.

 단종과 정순왕후의 슬픈 사랑이 500여년만에 다시 이뤄지길 기원하는 의미를 담기 위해서다.

 공단과 영월군은 18일 영도교에 얽힌 사연을 알리고자 다양한 협력사업을 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한다.

 이에 따라 영월군은 지난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장릉(단종의 능)의 홍보를 위해 영도교 주변에 단종과 정순왕후의 사연이 담긴 조형물(가칭 ‘500년만의 해우’)을 설치하고 다양한 문화행사를 주관할 예정이다.

 영도교는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궁궐의 석재로 쓰고자 부숴 현재는 이름과 위치만 확인할 수 있을 뿐,단종 유배 당시의 다리 모습은 없다.

 이후 홍수로 인한 유실과 복원을 반복하다 청계천 복개로 완전히 사라졌으나,2005년 말 청계천 복원사업 이후 현재의 모습을 갖게 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