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리뷰] ‘가정식 백반 맛있게 먹는 법’

[연극리뷰] ‘가정식 백반 맛있게 먹는 법’

입력 2010-06-21 00:00
업데이트 2010-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웃어만 넘기지 마라, 한방에 훅~ 낚인다

연극 ‘가정식 백반 맛있게 먹는 법’(최용훈 연출, 극단 작은신화 제작)을 정말 맛있게 먹는 법. 일단 서울 대학로 혜화동1번지 무대는 20일 막을 내렸지만 새달 앙코르 공연이 예정돼 있다. 7월7일부터 8월1일까지 대학로 정보소극장에서다.
이미지 확대


극 초반 무대 위에서 던져지는 대사나 행동은 코믹하지만 낄낄거리고 말 게 아니다. 흥행하라고 재미를 위해 배치한 게 아니라 나중에 일어날 일을 위해 미리미리 ‘떡밥’을 깔아놓는 과정이다. 책 외판원 양상호(왼쪽·임형택)는 순진하다 못해 덜 떨어져 뵈는 만화가 김종태(오른쪽·김문식)에게 온갖 주접을 떨어대며 접근한다. 목적은 당연히 한번 사두면 두번 다시 열어볼 일 없을 것 같은 백과사전 한 질을 팔아치우는 것. 그 수작이라는 게 길거리에서 만나게 되는 ‘도를 아십니까.’ 혹은 ‘예수님 믿고 복 받으세요.’라는 식이라 웃음이 끊이질 않는데, 대신 허투루 흘릴 만한 것은 단 하나도 없다. 떡밥이 충분히 뿌려졌다 싶을 때 작품은 관객을 훅~하니 낚아 올린다.

●빠른 속도감을 즐겨라

‘로마인 이야기’의 작가 시오노 나나미는 ‘갈리아 전쟁기’를 쓴 카이사르의 작가적 재능을 높이 평가한다. 서문 없이 본문으로 바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행여 독자가 이해 못할까봐, 혹은 독자를 이해시켜야 한다는 명분으로 구질구질한 설명을 덧붙여야만 직성이 풀리는 글쟁이 특유의 고질병이 없다는 뜻이다. 연극을 유심히 봐야 할 이유에는 이것도 포함된다. 작품의 러닝타임은 75분. 꽤 짧다. 두명의 배우로만 진행하는 2인극이라 그런 면도 있지만, 사실 작품 자체가 굉장히 축약적이다. 제한된 무대공간을 써야 하는 연극은 대개 이런저런 뒷얘기나 사연을 배우의 대사 형식으로 관객들에게 풀어놓는다. 하지만 이 작품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훅~ 낚일 때 자칫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다는 얘기다.

●식구를 고민하라

‘식구(食口)’란 표현이 절실해진다. 밥 같이 먹는 걸로 가족을 정의하는 일은 진부하지만, 그만큼 가장 중요한 일이란 얘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식탁 장면’은 연극은 물론 드라마, 영화 등 어느 장르 할 것 없이 가족다운 무엇을 묘사하는 흔한 클리세(장치) 가운데 하나다. 다정하게 모여 밥 먹으면 가족의 화목함을, 식탁은 화려하나 어색한 썰렁함만 흐르면 중산층의 균열을, 머리채 쥐어 뜯으며 너 죽고 나 죽자 하면 파탄난 관계를 뜻한다. 뭘 해도 식탁에서 하면 다 뜻이 된다. 양상호와 김종태가 각각 꿈꾼 식구는? 그리고 실제 식구는? 그리고 나의 식구는?

연장 공연을 끌어낸 것은 바로 팬들의 열광적 호응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6-2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