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외수·홍승엽 만났더니…

이외수·홍승엽 만났더니…

입력 2010-06-21 00:00
업데이트 2010-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설 ‘벽오금학도’ 현대무용 부활

이외수의 장편소설 ‘벽오금학도’가 유명 현대 무용가 홍승엽의 안무로 다시 태어난다. 새달 9일부터 이틀간 서울 용산동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에서다.

이미지 확대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단과 댄스씨어터 온이 펼치는 ‘벽오금학’은 이외수의 소설을 안무가의 시점에서 새롭게 구성한 현대 무용 공연이다.

소설의 감동을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홍승엽과 이를 흔쾌히 허락한 이외수의 만남은 예술 장르를 넘어선, 창작으로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는 평가다. 이미 올해 초부터 홍승엽은 이외수와 작품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수많은 대화를 통해 작품을 구상해 왔다는 후문.

특히 홍승엽은 이번 작품에서 작품의 줄거리를 따라가는 방식이 아닌, 주요 느낌과 인상을 담아 안무를 만들어 냈다. 그리고 이 인상의 핵심에는 ‘인연’이 있다. 땅, 하늘, 사람의 인연을 작품에 녹여 구성하고 소설 속 인물들의 인연을 섬세한 몸짓으로 풀어낸다. 또 작품을 무대와 객석이 함께 공감하며 만들어가는 인연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포부다. 무용수가 빨간 실타래를 따라가는 장면은 바로 이 ‘인연의 감동’을 전한다는 취지다.

안무가 홍승엽은 꾸준히 문학작품의 주요 내용과 감동을 주제 삼아 창작활동을 해왔다. 1990년대 카프카의 장편소설 ‘변신’에서 영감을 받아 ‘다섯 번째 배역’을, 이상의 문학세계를 모티프로 ‘13아해의 질주’를 발표했다. 이후 영국 희곡 ‘에쿠우스’를 현대무용화한 ‘에쿠우스’, 중국 현대문학가 루쉰의 ‘아큐정전(阿Q정전)’을 모티프로 ‘아큐(Ah-Q)’를 발표했다. 하지만 국내 문학작품을 창작품의 뼈대로 활용한 것은 ‘벽오금학’이 처음이다.

댄스시어터 온은 ‘벽오금학’ 공식 블로그(blog.naver.com/2010on)를 오픈해 운영하고 있다. 전체적인 내용을 포함해 작품이 만들어지는 제작과정을 일부 소개하는 코너와 블로거를 위한 다양한 이벤트도 즐길 수 있다. 2만~4만원. (02)3436-9048.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6-2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