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여닫는 線의 놀림

공간 여닫는 線의 놀림

입력 2011-05-07 00:00
업데이트 2011-05-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佛 작가 프랑수아 모렐레展

프랑스 작가 프랑수아 모렐레(85)의 ‘망령된 선들’(Senile Lines) 전시는 선들에 의해 갇히고, 선들에 의해 열리는 공간을 다룬다. 아니, 공간에 의해 연결되거나 차단되고 반사된 선이라고 거꾸로 말해도 된다. 이 공간은, 혹은 선은 닫힌 것인가 열린 것인가, 이어진 것인가 끊긴 것인가, 여기까지인가 저기까지인가 되묻게 만드는 작품들이다.

1950년 첫 전시 이래 455번이나 열린 개인전을 통해 차곡차곡 쌓아 놓은 과정을 음미해볼 수 있다는 점이 전시의 가장 큰 매력이다. 모렐레는 최근 프랑스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작가. 미국 주도의 현대미술에 대한 반박이기도 하다.

●1950년 이래 개인전만 455번

주연화 갤러리현대 큐레이터는 “현대미술에서 프랑스가 소외된 부분이 있었는데 최근 프랑스는 모렐레를 통해 이런 흐름에 뒤처지지 않는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프랑스는 지난해 루브르미술관 영구 설치작업을 모렐레에게 맡겼고, 올해에는 7월까지 퐁피두센터에서 ‘재설치’(Reinstallation)를 주제로 대규모 회고전을 진행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반영을 따라’
‘반영을 따라’


네온을 활용하는 것이나, 미니멀리즘적 취향 등이 세련된 맛을 풍긴다.

●한국 첫 전시… 1층부터 시간순 작품 배열

한국 첫 진출인 이번 전시에서도 이런 점을 강조했다. 지하 1층에서 지상 2층까지 시간순으로 작품을 배열했다.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소재로 삼은 2층에서부터 기하추상에 집중했던 지하 1층으로 내려오며 역순으로 보는 것이 재미 면에서는 더 낫다. 뿌리를 추적해 보는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모렐레가 활동 초기에 “지극히 단순한 것, 무와 다름없는 것들에게 끌린다.”고 하다가, 말년에 들어서는 “미술 전시란 자기가 먹을 것은 자기가 챙겨오는 스페인식 소풍”이라고 말하는 이유가 짐작된다.

프랑스 작가답게 말장난이 심하다. 전시 제목도 그렇고, 작품 제목들도 마찬가지다. 오는 11일부터 다음 달 19일까지 서울 사간동 현대갤러리 신관. (02)2287-35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5-07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