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의 ‘템플스테이’ 10년···참가자 70만명 돌파

산사의 ‘템플스테이’ 10년···참가자 70만명 돌파

입력 2011-05-29 00:00
업데이트 2011-05-29 1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사(山寺)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심신의 여유를 찾는 템플스테이가 시작된지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외국인들의 숙소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한국의 전통문화를 알리자는 취지에서 정부가 불교계에 제안해 시작된 템플스테이는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미지 확대
사찰문화 체험
사찰문화 체험 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바쁜 도시인을 위한 자연속에서 수행자의 휴식을 찾는 사찰문화 체험 템플스테이가 전국 각지의 사찰에서 열리고 있다.서울 삼각산 자락 종로구 숭인동 묘각사 템플스테이 행사 참가자들이 명상과 참선 ,타종식,발우 공양 등을 체험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2002년 33개 사찰로 시작한 템플스테이는 올해 전국 122개 사찰로 확대됐으며 참가자도 매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월드컵 당시 2천558명이었던 참가자 수는 불과 2년 만인 2004년 3만6천902명으로 15배가량 급증한 데 이어 2008년 11만2천800명으로 10만명을 돌파했으며 2009년 14만893명,2010년 17만2천954명으로 매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달까지 4만4천738명이 템플스테이에 참가해 2002년 이후 지금까지 템플스테이 참가자 수는 총 71만9천715명으로,70만 명을 넘어섰다.

 외국인 참가자 수도 2007년(1만3천533명) 처음으로 1만명을 돌파한 데 이어 이듬해인 2008년(2만106명) 2만명을 넘어섰다.2009년 1만9천399명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2010년 2만45명으로 다시 2만명 대로 올라섰다.

 템플스테이를 총괄하는 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무국장 견진 스님은 29일 ”템플스테이가 사랑받는 이유는 1천700년 역사를 지닌 한국 사찰의 문화유산,수려한 자연환경 등 일반인들이 문화 관광 콘텐츠에서 바라는 장점을 다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견진 스님은 ”무엇보다 현대인들이 자신을 되돌아보고 지친 마음을 치유할 수 있어서 많은 사랑을 받는 것 같다“면서 ”템플스테이 참가자 중 연령대별로는 20대가 제일 많다“고 소개했다.

 견진 스님은 ”지난 10년간 사찰의 잠재성을 키우는 양적 발전에 중점을 뒀다면 앞으로는 질적 내실화에 주력할 것“이라면서 ”불교의 가장 큰 특징인 자비와 공생의 정신으로 국민 삶에 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은 이런 구상에 따라 가족 중심의 ‘행복 나눔 프로그램’,김장,사찰 음식 등 ‘음식 만들기 프로그램’,금연,금주 등 ‘치유 프로그램’,구직자,실직자 등을 위한 ‘되살림 프로그램’,이혼자,집단따돌림 피해자,다문화 가정 등을 위한 ‘어울림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다.

 외국인을 겨냥한 홍보도 확대하고 있다.

 올해 초 기존 템플스테이 영문 사이트(http://eng.templestay.com)를 대폭 개편,영어 이외에도 중국어,일본어,독일어,프랑스어,스페인어 등 총 6개 외국어로 템플스테이 정보를 소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영어로 관련 정보를 소개하는 템플스테이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였다.템플스테이 정보는 물론 108배 하는 법,지역관광 정보,사진 등을 제공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