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vs 항일’ 그 후손들의 극과 극 삶

‘친일 vs 항일’ 그 후손들의 극과 극 삶

입력 2011-07-19 00:00
업데이트 2011-07-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1 19일밤 ‘시사기획… ’

일제 강점기, 같은 시대였지만 너무 다른 두 삶이 있었다. 친일의 길과 항일의 길. 일제로부터 귀족 작위와 은사금을 받은 조선귀족들의 삶은 윤택했고, 그 후손들도 조상의 후광을 입어 좋은 교육을 받고 양지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독립운동을 하고자 재산을 내던지고 자식들의 목숨까지 나라에 바쳤던 독립 운동가들은 머나먼 이국 땅에서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후손들의 고통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이미지 확대
일제 강점기, 각각 항일과 친일의 길을 걸었던 사람들의 일대기와 후손들의 현재를 조명한 KBS 1TV의 ‘KBS 시사기획 10’의 한 장면.  KBS 제공
일제 강점기, 각각 항일과 친일의 길을 걸었던 사람들의 일대기와 후손들의 현재를 조명한 KBS 1TV의 ‘KBS 시사기획 10’의 한 장면.
KBS 제공




19일 밤 10시 방송되는 KBS 1TV의 ‘KBS 시사기획 10’에선 친일의 길을 걸었던 사람들과 항일의 길을 걸었던 사람들의 과거와 후손들의 현재를 병치해 보여줌으로써 대한민국의 과제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친일재산조사위원회가 친일 행위자의 재산을 국고에 귀속한 지도 어느덧 5년이 지났다. 친일 행위자 160여 명의 재산을 국가에 귀속됐지만, 대부분 후손들이 반성하지 않고 소송 대열에 뛰어들어 친일재산조사위원회가 해체된 지금도 60여 건의 소송이 진행 중이다. 친일 재산 환수법 자체가 위헌이라며 위헌 소원을 낸 후손도 다수이다. 아버지의 아버지가 한 행동에 대해 후손이 얼마만큼의 책임을 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독립운동가들의 삶은 어떠할까. 우당 이회영 일가는 전 재산 600억 원을 처분해 마련한 돈을 초석으로 독립군 양성기관인 신흥무관학교를 만들었다.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은 독립군 교관으로 투입되면서 청산리 전투나 봉오동 전투의 승리에 큰 공을 세웠다. 이회영 6형제는 ‘오성과 한음’으로 유명한 이항복의 10대손으로 조선 시대에만 정승 판서를 9명이나 배출한 조선 최대 명문가 집안 출신이다. 하지만,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지도층부터 나서야 한다는 신념으로 만주에 집단망명해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이회영은 일제의 고문 끝에 1932년 사망했다. 조선 최대 부호였던 둘째 이석영도 1933년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이석영의 두 아들도 모두 중국에서 사망해 결국 절손이 되는 비극을 당했다.

신흥무관학교의 또 다른 주역이자 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 선생은 안동에 있는 99칸 대저택인 임청각을 소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경술국치 직후 독립운동을 하겠다고 집을 버리고 중국으로 집단망명을 해 결국 중국 땅에서 사망했다. 집안에 독립운동가만 9명, 후손들은 독립운동에 대한 보상은커녕 학교에 다니려고 고아원에 입소하는 등 모진 가난을 겪어야 했다. 더욱이 해방 이후 60년이 지난 지금도 임청각의 소유권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제작진이 이들의 사연을 취재했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7-19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