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 사람들의 ‘낙지잡이와 밥상’

전남 무안 사람들의 ‘낙지잡이와 밥상’

입력 2011-10-19 00:00
업데이트 2011-10-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일 KBS1 ‘한국인의 밥상’

쓰러진 소도 벌떡 일으키는 낙지의 계절이 돌아왔다. 20일 오후 7시 30분에 방송되는 KBS 1TV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가을 보양식인 낙지 밥상과 낙지잡이를 업으로 삼고 살아가는 전남 무안 주민들의 희로애락을 만나 본다.

이미지 확대
제철을 맞은 가을 낙지와 전남 무안 주민들의 희로애락을 담은 ‘한국인의 밥상’.  KBS 제공
제철을 맞은 가을 낙지와 전남 무안 주민들의 희로애락을 담은 ‘한국인의 밥상’.
KBS 제공




예로부터 기혈을 북돋우고 원기 회복에 도움이 되는 생물로 잘 알려진 낙지. 그 이유는 낙지에 들어 있는 타우린이 간의 해독 작용을 도와주는 효능이 있어 숙취와 만성피로 해소에 좋기 때문이다.

낙지 하면 떠오르는 무안군. 세계 5대 갯벌의 하나인 서해 갯벌에 위치해 연간 약 600t 정도의 낙지를 잡아서 생계를 유지하며 살아가는 무안 주민들. 무안이 낙지로 유명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낙지를 잡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낮에는 맨손으로 잡거나 가래라는 삽을 이용해 펄을 파내어 낙지를 찾는다. 하지만 밤에는 횃불을 이용하거나 배를 타고 주낙으로 낙지를 잡는다. 물때에 맞춰 낙지를 잡으러 가는 무안 주민들. 낙지를 잡는 방법은 모두 다르지만 낙지를 팔아 자식들을 먹여 살리려는 그들의 마음은 모두 같다.

무안에서만 맛볼 수 있는 기절낙지부터 낙지호롱구이, 그리고 우리가 흔히 즐겨 먹는 낙지 연포탕과 낙지볶음까지 매콤함과 담백함이 어우러지는 가을 낙지 밥상을 만나 본다.

한날한시에 태어나서 일평생 함께 의지하며 낙지를 잡아온 송계마을의 쌍둥이 형제, 홍쌍수·쌍섭(75) 할아버지도 만나 본다. 그들에게 갯벌과 낙지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 주고 형제 간의 믿음과 의리를 다져 주는 고마운 존재다. 땀 흘린 그대로를 보답해 주는 갯벌, 그곳에서 40년 동안 낙지를 잡아온 할아버지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통해 갯벌의 참된 의미를 돌아본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1-10-19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