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로 본 세상 1초당 겨우 두번?

CCTV로 본 세상 1초당 겨우 두번?

입력 2011-10-22 00:00
업데이트 2011-10-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덕수궁미술관 ‘소통의 기술’展

빈 공간에 들어서면 심벌즈 영상이 반복된다. 원래 심벌즈는 1초에 60번 진동한다. 그런데 초고속 카메라로 잡아낸 화면은 1초에 겨우 25번의 진동만 보여줄 뿐이다. 그 옆 폐쇄회로(CC) TV는? 겨우 1초당 2번이다. 세상을 보는 규격화된 방식이, 특히나 CCTV처럼 애초부터 의심하고 적대하는 시선이 삶의 세세한 부분을 얼마나 말살하고 있는가 드러내준다. 알바니아 출신 안리 살라(37)의 작품 ‘3분후’다.
이미지 확대
다하지 못한 말들을 상징하는 필립 파레노의 ‘말풍선’.
다하지 못한 말들을 상징하는 필립 파레노의 ‘말풍선’.


12월 4일까지 서울 정동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 분관에서는 ‘소통의 기술’전이 열린다. 안리 살라 외에 한국 출신 함양아(43), 알제리 출신 필립 파레노(47), 쿠바 출신 호르헤 파르도(48) 4명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들의 공통점은 주변국 출신임에도 미국, 유럽 미술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미디어아트 작가라는 사실. 그래서 소통에 더 민감할는지 모른다.

파레노의 작품 ‘말풍선’은 무한증식하는 말풍선을 전시장 천장 가득 채워뒀다. 전시장 밖으로 막 흘러넘친다. 다 하지 못한 말들을 상징한다. 파르도는 미국 LA에서 접한 한국 문화를 ‘불고기’라는 작품으로 정리했는데, 정작 우리가 보기엔 한국과 무관해보인다. 잘 안다 했으나 실제와는 다른 것, 그게 소통이기도 하다.

함양아는 다소 도발적인 작품 ‘영원한 황홀’을 내놨다. 가둬놓은 곳에서 말벌들끼리 서로 죽이는 장면과 서울의 풍경을 겹쳐뒀다. 현대 한국인의 소통은 이런 게 아니냐는 물음 같다. 5000원. (02)2022-06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0-22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