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인7색 몸짓… 우리는 무용수다

7인7색 몸짓… 우리는 무용수다

입력 2011-12-12 00:00
업데이트 2011-12-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6 ~ 17일 ‘춤, 신 프로젝트’

터져나오는 말을 주체할 수 없어 노래가 됐고, 벅차오르는 감정을 노래로만 다스릴 수 없어 춤이 됐다고 한다. 인간의 나약한 육체가 만들어 내는 아름다움을 강조하기 위한 표현인데, 오늘날 예술성이 강조되기 시작하면서 지나치게 어렵고 복잡해져 버린 감이 있다.

이미지 확대
오는 16~17일 서울 역삼동 LIG아트홀 무대에 오르는 ‘춤, 신 프로젝트’는 이를 뒤집기 위한 작업이다. 제목에 ‘춤’과 ‘신’이 들어간 이유는 춤의 신이 아니라 ‘춤의 정신’이라는 의미에서 넣은 표현이다.

전체 기획은 LIG의 교류(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한 현대무용가 밝넝쿨이 맡았고, 김선미(창무회 예술감독), 남영호(남영호무용단 안무가), 송주원(11댄스프로젝트그룹 대표), 류장현(류장현과 친구들 리더), 정이수(오 마이 라이프 무브먼트 씨어터 멤버), 심재호(한림연예예술고 재학) 등 모두 7명의 무용수가 이야기를 풀어낸다.

주제는 ‘춤춘다는 것이 내 인생에서 무엇인가’. 왜 나는 춤을 추게 되었고, 왜 이런 춤 저런 춤 가운데서 바로 이 춤에 이끌렸는가를 몸짓으로 형상화했다. 10대부터 50대까지 연령층도 다양하다. 참가자들 면면을 살펴보면 흥미가 더욱 배가된다.

우선 밝넝쿨은 ‘순수한 몸과 자유로운 실험정신’을 내걸고 왕성한 창작활동을 하는 무용가이자 안무가다. 이런 기치 아래 ‘오 마이 라이프 무브먼트 씨어터’를 창단해 대표 겸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정이수는 단원이다.

김선미는 5살 때부터 한국 전통춤을 익히기 시작해 인간문화재인 이매방 선생에게서 승무, 살풀이, 검무 등을 배운 한국 전통춤의 대표주자다. 반면 류장현은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2009년 작고), 영국 록 그룹 비틀스처럼 가장 팝적인 음악을 배경으로 유쾌하고 역동적인 무대를 꾸며 온 무용수다.

심재호는 중학교 때부터 비보이팀에서 맹활약을 펼쳤던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무용을 배우고 있는 무용수이고, 남영호는 프랑스 유학파임에도 도교와 승무를 현대무용에 녹여 내기 위해 노력하는 춤꾼이다.

한국콘서바토리 무용과 교수인 송주원은 지난 4월 국립현대무용단이 35세 이상 무용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서바이벌 오디션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최후의 4인’ 가운데 한 명이다. 그렇게 해서 지난달 프랑스 출신 세계적 안무가 조엘 부비에가 사랑을 이야기했던 ‘왓 어바웃 러브’ 무대에 섰다.

이렇듯 세대도 다르고 배경도 각기 다른 7명의 무용수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춤으로 풀어내는 무대지만, 그들 역시 지금 현대의 한국을 살아가는 사람들. 해서, 지금 한국사회에서 숨 쉬고 살아가고 있다는 동시대성을 더 부각시키기 위해 MBC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에서 불려진 한국의 대표적인 대중가요 편곡 음악을 쓰기로 했다. 갈라쇼처럼 무용수당 10분 안팎의 시간을 줬기 때문에 전체 공연시간은 1시간 정도다. 2만원. 1544-1555.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2-12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