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진 위원장 “교과서 아직 한계 많아”

이태진 위원장 “교과서 아직 한계 많아”

입력 2011-12-16 00:00
업데이트 2011-12-16 1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관성 유지하기 위해 ‘자유민주주의’ 등 표현 유지”

이태진 국사편찬위원장이 16일 역사교과서 등 우리나라 교과서가 전반적으로 아직 많은 한계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대강당에서 열린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공청회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지적하고 더 나은 역사교과서 개발을 위해 선진국 역사교과서를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고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이 발표됐다.

이 위원장은 “역사 교과교육에 대한 요구와 국민적 관심이 어느 때보다 고조돼 있다”면서 “올바른 역사관으로 자긍심으로 높일 수 있고 오류와 편향이 없으며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역사교과서는 우리 모두가 바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집필기준 시안을 마련한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개발 공동연구진이 “학생들이 바른 세계관과 우리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함께 가질 수 있는 방향으로 역사교과서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노력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위원장은 그러나 “우리나라 교과서가 전반적으로 아직 많은 한계를 가진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역사교과서도 예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사편찬위원회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마친 뒤에도 더 나은 역사교과서의 개발을 위해 주요 선진국의 역사교과서를 수집 분석해 우리 교과서의 문제점을 점검하는 작업을 수행해 미래에 대비할 계획”이라며 학계와 교육계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 위원장은 공청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자유민주주의’ ‘유일한 합법정부’ ‘독재화’라는 표현이 중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에 이어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에도 그대로 사용된 것과 관련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고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에 명시된 5·18 민주화운동 등 역사적 사실이 중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에는 누락되고 검정기준에만 명시된 것에 대해서는 “이미 지나간 것은 가능한 기회를 활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