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신앙과 민간의 소통

약사신앙과 민간의 소통

입력 2013-05-24 00:00
업데이트 2013-05-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구 동화사 29 ~ 30일 세미나

세계적으로 이름 난 불교 학자들이 약사신앙과 불교의 치유·통합 정신을 고찰하는 이색 모임이 열린다. 대구 동화사와 미국 뉴욕 컬럼비아대 불교·동아시아 종교센터가 29∼30일 동화사 통일대불전에서 개최하는 ‘동아시아 약사신앙학회’가 그것. 약사여래 신앙 연구를 활성화하고 약사여래 성지로 이름 난 팔공산과 동화사가 갖는 의미를 조명하는 자리로 눈길을 끈다.

약사여래 신앙은 동아시아 불교전통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세계적으로 연구가 미미한 형편.따라서 이번 학회는 서구불교학계에 약사신앙을 중심으로 한 한국불교 붐 조성을 우선 겨냥한 것으로 관측된다. 학술 모임 장소인 동화사가 자리한 팔공산은 ‘갓바위’로 유명한 관봉석조여래좌상(보물 제431호)을 비롯해 약사여래 부처님 20여상이 있을 만큼 ‘약사 신앙의 중심지’로 꼽힌다.

세미나는 민간신앙과 약사불, 치병과 의약, 약사여래 도상의 변천, 역사 속에서의 약사 신앙 등 4부로 진행돼 총 12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불교·동아시아종교센터 공동소장을 맡고 있는 유춘팡·버나드 포 교수를 비롯해 한국·중국·일본·미국 등 세계 각국의 불교 석학 16명이 참석한다.

국민대 남무희 교수의 ‘팔공산 동화사의 약사 신앙’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종명 교수의 ‘현대 한국의 갓바위 약사불 신앙’, 펜실베이니아주립대 피어스 살구에로 교수의 ‘약사불, 불교경전에 보이는 의약’이 주목되는 논문들. 이 밖에 컬럼비아대 마이클 코모 교수의 ‘약사불과 용왕’, 맥스 모어만 교수(컬럼비아대)의 ‘붓다와 목욕물:일본의 치병, 온천과 약사 신앙’, 메릴랜드대 유이 스즈키 교수의 ‘사이초와 헤이안시대의 천태종 약사 신앙’, 중국 손얏센대 야오 총신 교수의 ‘정토왕생인가 혹은 현세구복인가’, UC산타크루즈대 라움 번바움 교수의 ‘홍이선사를 통해 본 중국의 약사 신앙’도 눈길을 끈다. 발제 논문들은 컬럼비아대 출판사를 통해 영역본으로 발간될 예정이다.

동화사 주지 성문 스님은 “세미나를 통해 약사 신앙이 동아시아 불교와 민간신앙에 어떤 영향을 끼쳤고, 불교가 민간과 어떻게 소통해 왔는지를 밝힐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모임을 계기로 세계 불교학계에 약사 신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학술세미나 기간인 28일부터 6월 30일까지 동화사 불교문화관에서는 ‘동아시아 약사 신앙’ 주제의 사진전이 함께 열린다. 사진전에는 동화사가 개최한 약사 신앙 주제 사진 공모전에서 입상한 40여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05-24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