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 번역기 돌렸나’ 한국 상륙 디즈니플러스에 쏟아진 불만

‘자막 번역기 돌렸나’ 한국 상륙 디즈니플러스에 쏟아진 불만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1-11-16 10:12
수정 2021-11-16 1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색한 번역에 도움을 요청한 한 네티즌. 네이버 지식인 캡처
어색한 번역에 도움을 요청한 한 네티즌. 네이버 지식인 캡처
화려한 한국 상륙을 예상했던 월트디즈니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디즈니 플러스(Disney+)’가 미흡한 모습으로 이용자들을 실망시켰다.

지난 12일 디즈니 플러스가 출시된 직후부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온라인커뮤니티 등에는 디즈니 플러스의 자막 오번역과 불편한 시스템 등의 불만 글이 쏟아지고 있다.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것은 한글 자막 번역이 어색하다는 점이다. 가장 기본적으로 갖춰져 있어야 할 서비스가 마치 번역기를 돌린 것처럼 어색해 콘텐츠 몰입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한 네티즌은 디즈니플러스 ‘올라프의 겨울왕국 어드벤처’의 한 장면을 캡처한 후 “다른 영화도 마찬가지로 자막이 번역기 돌린 것처럼 엉터리”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캡처 장면은 올라프가 ““괜찮으시면 저희랑 함께 성에 가시지 않을래요?(You’re welcome to join us in the castle if you’d like.)”고 묻는 장면이지만, 한국 자막 서비스에는 “가랑이를 함께해요?”라고 뜬다.
한 네티즌의 디즈니플러스 고객상담센터 1:1 채팅 서비스 후기.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한 네티즌의 디즈니플러스 고객상담센터 1:1 채팅 서비스 후기.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더불어 상담 서비스 직원의 한국어 사용이 어색하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 14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디즈니 플러스 고객상담센터의 1:1 채팅 서비스를 이용한 네티즌의 후기 글이 게재됐다.

해당 캡처본을 보면, 글쓴이는 1년 이용권을 결제하고 난 후 다음 결제일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한국어 담당 상담원과 채팅을 시작했다. 상담 직원은 글쓴이의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고 마치 번역기를 돌린 듯한 어색한 문장으로 말하는 모습이다.

글쓴이가 “한국분이 아니거나 한국어가 익숙하지 않으면 다른 상담원으로 부탁드린다”고 요청했지만 상담직원은 “한국사람이 맞다”고 답하면서도 어색한 한국말을 이어갔다.

결국 글쓴이는 결제 갱신일을 확인하는 데만 40분이 넘게 걸렸고, 상담직원은 끝까지 오타를 남발하며 상담을 마무리했다.

부정적 후기가 온라인에서 줄을 잇자 아직 결제하지 않은 잠재적 소비자들은 “나중에 결제해야겠다”, “너무 성의가 없는 것 아니냐”, “넷플이 잘돼서 급하게 들어왔나”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