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계 블로그] 성악가들 목에 해로운 담배 왜 피울까

[문화계 블로그] 성악가들 목에 해로운 담배 왜 피울까

입력 2010-03-26 00:00
업데이트 2010-03-2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바로티·스테파노 등 흡연자 많아 “일종의 일탈행위·긴장감 해소 의도”

“성악가가 잘 하는 게 3가지 있다. 하나는 노래고, 두 번째는 술이며, 마지막은 담배다.”

이미지 확대
루치아노 파바로티(왼쪽)·주세페 디 스테파노
루치아노 파바로티(왼쪽)·주세페 디 스테파노
한 유명 성악가의 말이다. 믿기 어렵다. 목소리를 업으로 하는 성악가들이 목에 안 좋다는 담배를 피운다는 게 과연 사실일까.

세 가지 얘기야 농반진반이겠지만 일부 성악가들이 담배를 피운다는 것은 꽤 오래된 사실이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도 쉽게 확인된다. 이탈리아의 명(名)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는 휴가기간인 8월이 되면 자신의 별장에서 시가를 즐겨피웠다고 한다. “담배를 피면 긴장이 풀리고 편안해진다.”며 담배 예찬론을 펼쳤을 정도다.

이탈리아의 테너 주세페 디 스테파노는 골초로 ‘명성’이 자자했다. 공연 시작 직전에도 담배를 피웠고, 무대에서 노래를 부른 뒤 다시 돌아와 담배를 피웠다는 유명한 일화도 있다. 파바로티나 디 스테파노와 같이 한 세기를 풍미했던 유명 성악가들이 담배를 즐겨 피웠다는 사실은 담배가 목소리에 해로운 게 맞는지 의심마저 들게 한다.

국내 성악가 가운데서도 흡연자들이 꽤 많다는 전언이다. 한 성악가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성악가와 담배는 꽤 가깝다. 이름만 대면 알 수 있는 유명 성악가들도 담배를 즐겨 피운다.”고 털어놨다. 물론 그렇다고 디 스테파노처럼 골초 수준까지는 아니란다. 담배를 피우더라도 공연 시작 전에는 절대 담배를 입에 물지 않는 원칙파도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왜 담배를 찾는 것일까. 한 성악가의 분석이 흥미롭다. “성악가에게 흡연은 엄청난 일탈”이라는 설명이다. 마치 학생들이 선생님 몰래 야간 자율학습 시간을 빼먹는 것에 쾌감을 느끼는 것처럼, 성악가들도 일종의 금기를 행하면서 카타르시스를 얻는다는 얘기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성악 전공 학생들도 교수 몰래 종종 담배를 피운다. 공연이 끝난 뒤 극도의 긴장과 압박감에서 풀려나며 담배를 찾기도 한다.

성악가에게 담배가 치명적이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김형태 예송이비인후과 음성센터 대표원장은 성악가에게 미치는 담배의 해악을 3가지로 설명한다. 첫째, 노래를 부를 때 성대는 3000번에서 2만번까지 진동한다. 이 마찰을 견디기 위한 성분이 분비되는데 담배는 이 분비 작용을 억제시킨다. 둘째, 니코틴 등 이물질이 성대 표면에 남아 성대에 상처를 입힌다. 자동차로 따지면 윤활유에 돌가루가 섞이게 되는 셈이다. 셋째, 담배 연기는 위산을 역류시켜 성대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3-26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