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최대 사찰 ‘황룡사’ 800년 만에 증강현실로 부활

신라 최대 사찰 ‘황룡사’ 800년 만에 증강현실로 부활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7-22 21:00
업데이트 2020-07-23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문화재연구소, 중문·남회랑 복원
건축물 원근감 살려 실제 거닐듯 재현

이미지 확대
신라 최대 사찰 황룡사가 증강형실(AR) 디지털 기술로 되살아났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신라 왕경 핵심 유적 복원·정비 사업의 하나로 경주 황룡사의 건축물 중 가장 크고 화려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 시기의 중문과 남회랑을 디지털로 복원했다고 22일 밝혔다.

황룡사는 553년(신라 진흥왕 14년) 창건을 시작한 이후 신라 최대의 사찰로 추앙받았지만 1238년 몽골 침입 때 불타 사라졌다. 황룡사는 남문에서 시작해 북쪽으로 중문, 목탑, 금당, 강당이 자리하고, 중문 양쪽에 남회랑이 이어져 있다.

복원한 중문의 크기는 가로 26.4m에 세로 12.6m, 남회랑의 길이는 중문을 포함해 272.5m이다. 중문은 2층 규모의 우진각 지붕 형태와 1층 규모의 맞배지붕 형태 두 가지 모습으로 구현했다. 2012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황룡사 복원 심화연구의 결과를 담은 것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실물이 없는 건축 문화재를 디지털로 복원한 사례는 지난해 8월 한양 도성의 서쪽 정문 돈의문이 있지만 이번처럼 실제 건축물 크기로 만든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체험자와 건축물의 거리를 계산해 원근감을 살렸고, 시간 경과에 따른 그림자의 변화를 달리해 황룡사를 실제 거니는 듯 생생하다는 설명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경주시와 협의해 황룡사지 방문객이 태블릿PC를 이용해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연구소는 2024년까지 황룡사 금당을, 이후에는 강당과 신라 3보(寶) 중 하나로 꼽히는 9층 목탑을 디지털로 복원할 계획이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7-23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