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SM 등 11개사, OTT 음악사용 공동 대응한다

하이브·SM 등 11개사, OTT 음악사용 공동 대응한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1-06-02 15:40
업데이트 2021-06-02 15: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작사 위원회 발족…권리자 협상 창구로
OTT 사업자들과 협의체 구성…“상생모색”
방송물전송위원회에 참여한 11개사. 음콘협 제공
방송물전송위원회에 참여한 11개사. 음콘협 제공
국내 대표 음반 제작사들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업체의 음악 사용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협의체를 구성했다.

사단법인 한국음악콘텐츠협회(음콘협)는 회원사인 국내외 주요 음반 제작사 11곳이 ‘방송물전송위원회’(위원회)를 발족했다고 2일 밝혔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소속된 하이브를 비롯해 SM, YG, JYP 등 주요 기획사와 예전미디어, RBW, NHN벅스, 다날엔터테인먼트, 유니버설뮤직코리아, 소니뮤직엔터테인먼트코리아, 워너뮤직코리아 등이 회원사로 참여했다.

위원회는 음콘협을 운영 사무처로 두고 OTT, IPTV, SO(방송플랫폼 사업자)의 VOD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음악 사용과 관련한 주요 현안 및 정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플랫폼이 성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권리자의 수익을 늘리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앞서 음악계는 OTT 업체들과 콘텐츠 내에서 사용하는 음악의 저작권료 징수 규정을 두고 갈등을 빚어오다, 최근 국내 OTT 사업자들과 ‘OTT 음악저작권 상생협의체’를 구성하고 상생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최광호 음콘협 사무총장은 “문체부가 주관했던 상생협의체 출범식에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업자들의 의지를 확인한 만큼, 상생협의체를 통해 합리적이고 유의미한 결과물 도출에 최선을 다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