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비에 장승 내세워 박물관 정체성 표출
밀레니얼 세대 맞춤 증강현실 등 활용
김종대 관장 “유물 생활문화 가치 전달”
23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 마련된 장승제에서 김종대 국립민속박물관장이 절을 올리고 있다. 민속박물관의 상징으로 최고(最古)의 나무 장승인 쌍계사 장승을 내세웠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민속박물관의 첫인상으로 장승을 내세운 건 지난 1월 취임한 김종대 관장의 아이디어다. 그는 “대표 유물인 쌍계사 장승을 통해 우리 박물관의 정체성을 한눈에 드러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개방형 직위로 뽑힌 김 관장은 2005년 중앙대 교수로 임용되기 전까지 20여년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근무한 민속문화 전문가다. 특히 마을제의와 도깨비 연구에 주력해 왔다. 김 관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새로운 방향성을 찾지 않으면 민속박물관이 살아남기 어렵다는 절실함을 느낀다”며 “전시실에 갇힌 유물이 아니라 현재 우리의 삶과 연결된 역동적인 생활문화로서의 가치를 전달하도록 변화하겠다”고 밝혔다.
옛것에서 새로움을 발견하는 ‘뉴트로’ 흐름에 맞춰 밀레니얼 세대를 박물관으로 유인할 전략에도 힘쓸 계획이다. 이를 위해 먼저 상설 전시를 전면 개편했다. 상설전시관2에서 열리던 ‘한국인의 일상’을 ‘한국인의 일 년’으로 바꿔 희소성 있는 유물과 실감형 영상 등으로 세시풍속의 다양한 면모를 흥미롭게 펼쳤다. 어릴 때부터 민속문화에 관심을 갖도록 어린이박물관은 전통 설화를 바탕으로 한 전시와 증강현실 체험 등을 늘리고, 온라인 민속문화 콘텐츠 개발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오는 7월에는 경기 파주시 헤이리에 ‘국립민속박물관 파주’를 개관한다. 개방형 수장고와 민속아카이브센터로 운영된다. 김 관장은 “경기 북부 지역의 첫 국립박물관이라는 상징성이 크다”면서 “가족 관람객을 위한 유물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충실히 다루겠다”고 했다.
경복궁 복원사업에 따라 국립민속박물관은 2031년까지 이전해야 한다. 현재 세종시 이전 논의가 진행 중이다. 김 관장은 “세종으로 가는 걸 회피하지 않는다”면서도 “본관은 민속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고, 서울·부산 등에 지역 분관을 설치해 전시를 통해 민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등 체계적인 밑그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1-03-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