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연의 세 번째 명성황후… “육아로 더 깊어진 감정과 이해, 꼭 보여드리고 싶어요“

차지연의 세 번째 명성황후… “육아로 더 깊어진 감정과 이해, 꼭 보여드리고 싶어요“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0-06-28 18:43
업데이트 2020-06-28 18: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 다음달 8일 개막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에서 명성황후를 연기하는 배우 차지연이 최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인터뷰를 갖고 각오를 밝히고 있다. 서울예술단 제공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에서 명성황후를 연기하는 배우 차지연이 최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인터뷰를 갖고 각오를 밝히고 있다. 서울예술단 제공
세 번째 만나는 명성황후이지만, 이번에 연기할 명성황후는 더욱 특별하다. 서울예술단의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에서 명성황후를 맡은 배우 차지연(38)은 2013년과 2015년 두 차례 무대와 달리 이번엔 ‘엄마’의 마음이 더 크다. 대본과 무대 연출, 모든 것이 초연부터 그대로이지만 스스로의 경험이 더해져 확 달라졌다고 했다.

다음달 8일 개막을 앞두고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한창 연습 중인 차지연은 “육아의 신기한 과정들을 경험하면서 생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들이 작품을 만났을 때 너무나 다른 차원의 얘기를 해 준다”며 “깊어지고 풍성해지고 담백해지고 아주 평안하다”고 말했다.

‘잃어버린 얼굴 1895’는 명성황후의 진짜 얼굴을 찾는다는 의미로 명성황후의 여성이자 아내, 어머니, 한 인간으로서의 고민과 욕망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한 작품이다. 차지연은 “가장 처음에 대본을 받자마자 시멘트 덩어리가 머리 위에서 부어내려서 굳어버리는 것처럼 굉장히 강렬하고 숨을 못 쉴 정도로 압도당했다”면서 “과연 이걸 감히 내가? 당연히 못할 거라 생각한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왕비나 국모라는 무게감이나 그를 둘러싼 역사적 논란을 다 제쳐 두고 그저 한 사람으로서의 삶을 살아보기로 했고 명성황후가 왜 그런 선택들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여정을 보여 주려 한다”고 덧붙였다.
배우 차지연이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에서 맡은 명성황후 역을 연습하고 있다. 서울예술단 제공
배우 차지연이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에서 맡은 명성황후 역을 연습하고 있다. 서울예술단 제공
무대 한 가운데 서있는 장면조차 왜 그렇게 서있어야 하는지를 배우가 스스로 설명해야 하는 극, 차지연은 ‘잃어버린 얼굴 1895’를 “멋있고 세련된 작품”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생각할 공간이 많고 배우가 책임져야 할 게 많은 작품, 다른 것에 눈 돌리지 않고 집중해야 하는 작품이라 배우로서 계속 채찍질하게 하는데 그런 게 괴롭지만 재미있다”고 설명했다.

앞선 두 차례 무대에서 굉장한 호평을 받았지만 그는 겸연쩍어했다. 지난 22일 네이버TV를 통해 온라인 상영된 2015년 공연도 차마 다 보지 못했다고 한다. “이전에는 부담감에 짓눌려 잘하고만 싶었고, 연기를 하면서 명성황후가 왜 그렇게까지 치열하고 지독하게 살았는지 생각할 여유조차 없었다”면서 “그런데 아이를 낳고 보니 결국 명성황후에게 이 나라의 미래가 아이와 직결됐고, 이 나라가 아이의 나라여서 그랬던 것 아닐까 생각을 하니 수학 문제가 풀리듯이 대사가 연결되고 이해됐다”고 말했다. “표현을 더 담백하게 하면서도 깊이가 생겼고, 관객들이 생각할 수 있는 여백이 더 커진 것 같다”면서 “꼭 보여드리고 싶다”고도 했다.

요즘은 연기 자체보다는 무대가 열릴 수 있을지를 걱정하고 조바심이 난다는 차지연은 “무대에서 관객들에게 받는 힘이 유독 큰 사람”이라면서 “연기하면서 감사함이 어느 때보다 커졌고 단 한 회만이라도 공연할 수 있기를 바라고 모든 무대를 마지막인 것처럼 연기하겠다”고 자신에게 다짐하듯 말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