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생 두 국악돌의 新수궁가 “절창 향해 한 발씩 성장할래요”

90년대생 두 국악돌의 新수궁가 “절창 향해 한 발씩 성장할래요”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1-04-07 19:54
수정 2021-04-08 0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절창’ 무대 서는 김준수·유태평양

이미지 확대
국립창극단 무대에서 여러 배역을 맡으며 개성과 끼를 선보였던 김준수(왼쪽)와 유태평양이 소리꾼 본연의 옷을 입고 무대에 선다. 4시간 분량 수궁가를 100분으로 줄여 짜임새를 높이고 다채롭고 감각적인 구성으로 색다른 맛과 멋을 알릴 예정이다. 국립창극단 제공
국립창극단 무대에서 여러 배역을 맡으며 개성과 끼를 선보였던 김준수(왼쪽)와 유태평양이 소리꾼 본연의 옷을 입고 무대에 선다. 4시간 분량 수궁가를 100분으로 줄여 짜임새를 높이고 다채롭고 감각적인 구성으로 색다른 맛과 멋을 알릴 예정이다.
국립창극단 제공
국립창극단 작품에서 다양한 배역으로 활약했던 김준수와 유태평양이 본연의 소리꾼의 모습으로 무대에 오른다. 어린 시절부터 갈고닦은 전통 판소리와 창극으로 쌓은 개성과 매력을 더해 색다른 수궁가의 맛을 선사한다.

●17~18일 국립극장서 신명나는 공연

오는 17~18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열리는 ‘절창’(絶唱)은 국립극장이 37년간 선보인 명창들의 완창 판소리와 달리 젊은 소리꾼들의 뿌리를 만날 수 있는 새로운 무대다. 국립창극단에 ‘퇴근길’, ‘도시락 선물’ 등 팬덤을 키운 ‘국악계 아이돌’ 김준수, 유태평양이 나선다.

7일 국립극장에서 만난 두 소리꾼은 ‘관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판소리’에 대한 바람을 거듭 밝혔다. “전통 판소리 속 뛰어난 문학작품이 지금 우리 나이 관객들과 거리낌 없이 소통할 수 있는 주제일까”(유태평양), “어떻게 하면 관객들과 거리를 좁힐 수 있을까”(김준수)에서 시작해 어떤 바탕을 어떻게 부를 건지까지 두 사람은 수궁가에 고민과 갈망을 골고루 담았다.

●“관객과 소통하는 판소리 됐으면”

판소리 다섯 바탕 가운데 유일하게 우화적 성격을 띠는 수궁가로 좀더 관객들과 웃으면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거로 생각했다. 마침 두 사람이 미산제 수궁가를 계승한 터라 호흡을 맞추기도 훨씬 좋았다. 다만 1990년대생 소리꾼들은 보다 자신들과 가까운 판소리 수궁가를 노래하고 싶었다.

“유교사상 속 ‘군신유의’를 강조하고 별주부를 충신으로 그린 원전이 그렇게 와닿지는 않아요. 대신 별주부와 토끼의 여정이 꼭 우리 청춘들의 이야기 같았어요. 용왕의 간을 구하기 위해 바다를 빠져나가는 과정, 뭍에서 호랑이를 만나고 토끼를 데려오는 과정 어느 하나 쉽지 않죠. 잘살고 있다 별주부에게 사기를 당해 간을 떼먹힐 뻔한 토끼는 또 어떤가요. 말 그대로 고난과 행복의 연속이죠.”(유태평양)

●4시간 ‘수궁가’ 100분에 압축

완창하면 4시간 가까이 되는 원전을 100분에 압축한 수궁가에는 북 장단 외에도 생황, 타악, 거문고, 양금이 선율을 더하고 발림도 훨씬 풍부하다. “보통 판소리 무대에서 발림은 부수적인 움직임 정도로 쓰이지만, 주요 대목마다 움직임을 키워 발림으로 소리를 가꾸고 관객들의 이해를 돕고 싶었어요.”(김준수)

판소리 ‘사천가’, ‘억척가’를 비롯해 여러 연극과 창극, 음악극 등을 맡은 남인우 연출이 ‘서로 너무나 다른 두 소리꾼의 매력’을 한껏 뽑아낸다. ‘고고천변’, ‘범피중류’ 등 주요 눈대목들을 장단에 따라 주거니 받거니 하는 입체창으로 선보이고, 서로 다른 바디를 그대로 살려내 오히려 화음 같은 이색적인 소리도 들을 수 있다. ‘절창’은 아주 뛰어난 소리라는 뜻을 담고 있다. “멀고 먼 소리 길을 걸어가는 소리꾼으로, 진정한 절창을 향해 다가가며 한 발씩 성장해 가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준비하다 보니 제가 제일 좋아하고 잘하고 싶은 게 판소리라는 것을 더 잘 알게 됐어요.”(김준수)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1-04-08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