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철학자의 눈으로 애덤 스미스 다시보기

분석철학자의 눈으로 애덤 스미스 다시보기

입력 2010-06-09 00:00
업데이트 2010-06-09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퍼트남의 ‘사실과 가치의 이분법을… ’

자유방임 시장주의자로만 알려진 애덤 스미스의 재해석에 기댄 책이 또 나왔다. 영미 주류철학인 분석철학의 대가 힐러리 퍼트남이 지은 ‘사실과 가치의 이분법을 넘어서’(서광사 펴냄)다.

분석철학은 알려졌다시피 사실과 가치의 엄격한 분리를 통해 논증의 명료성을 추구한다. 분석철학 입장에서 가치란 철학적 연구 대상에도 끼지 못하는 무의미한 진술일 뿐이다. 이런 이유로 분석철학자들은 윤리학을 기피하고, 또 기피하는 것 자체를 자랑스러워한다. 그 자신이 분석철학자인 퍼트남이 이런 분석철학적 태도에 대해 도전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이 살아가는 것 자체가 가치판단적인데 이를 외면하다보니 분석철학 자체가 빈곤해졌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연구실에 둘러앉아 자기네들끼리만 놀고 있다는 것이다.

퍼트남은 이런 태도를 비판하기 위해 경제학을 가져온다. 분석철학과 경제학은 과학적 순수논리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통하는 면이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그런 까닭에 별 쓸모가 없다는 점도 비슷하다. 흔히 “경제는 경제 논리에 따라서”라고 하면, 싫건 좋건 간에 돈의 논리에 따르라는 뜻이다. 돈덩어리라는 놈이 움직이다 보면 다리에 차여 죽거나 궁둥이에 깔려 죽는 사람도 나오지만, 뭐 어쩔 도리 있겠느냐는 얘기다. 순수논리가 비현실을 넘어 폭력성을 띠는 이유다.

따라서 퍼트남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마르티아 센이 품고 있는 기존 경제학에 대한 분노를 끊임없이 빌려온다. 센의 주장을 퍼트남 식으로 압축하자면, 경제적 법칙이라는 ‘사실’은 사회적 복리 증대라는 ‘가치’에 의해 얼마든지 재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책 후반부로 갈수록 퍼트남과 센의 주장이 섞이면서 “윤리학과 경제학·정치학을 격자화하는 것을 멈추고, 스미스가 경제학자의 본질적인 임무로 보았던 사회적 복리에 대한 이성적이고 인간적인 평가로 되돌아 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5장 ‘선호의 합리성에 관하여’는 아예 자유주의 정치학과 경제학의 ‘일란성 쌍둥이’인 선호집합적 모델과 합리적 선택이론을 싸잡아 비판대 위에 올린다.

퍼트남과 센의 이런 태도는 ‘애덤 스미스=자유방임경제학자’라는 기존 해석이 틀렸다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이미 단초는 있었다. 지난해 사망한 좌파학자 조반니 아리기는 2007년작 ‘베이징의 애덤 스미스-21세기의 계보’를 통해 애덤 스미스 주장의 핵심은 시장이 제멋대로 놀도록 내버려둬야 한다가 아니라, 국가가 시장을 잘 부려먹어야 한다는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기업가의 이윤은 극도로 낮추고, 노동자 임금은 최대한 끌어올리라고 국가에 권했다.

국내시장의 과도한 경쟁을 줄여줘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기업이 출현해 그 대기업들이 떨어뜨린 떡고물을 받아먹고 살 수 있다는, 자칭 시장주의자들의 적하효과론(trickle-down)과는 정반대되는 얘기다. 이런 해석을 ‘좌파적 오독’으로 격하하고 싶다면, ‘애덤 스미스 구하기’라는 책도 참고할 법하다. 애덤 스미스 연구자 조너선 와이트가 소설 형식을 빌려 쓴 이 책에서 애덤 스미스가 후대 사람들이 자신을 이기심과 시장을 찬양한 사람으로 기억한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낙담하는 장면이 나온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6-09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