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학적 폭력과 폭언으로 포장된 사랑

가학적 폭력과 폭언으로 포장된 사랑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가흠 첫 소설집 ‘귀뚜라미가 온다’

200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 ‘광어’가 당선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한 백가흠(31)의 첫 소설집 ‘귀뚜라미가 온다’(문학동네 펴냄)가 재출간됐다. 모두 8편의 소설 중 표제작 ‘귀뚜라미가 온다’는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갯바람처럼 거칠고 비린 냄새가 난다. 능도 유원지의 바람횟집과 달구분식이 소설의 무대다.

이미지 확대
바람횟집에는 스물여섯 살 남자와 서른네 살 여자가 산다. 달구분식은 달구와 노모가 꾸려간다. 바람횟집의 남자와 여자는 서로에게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나이를 속인 채 사랑을 한다. 남자는 여자를 ‘시발년’이나 ‘미친년’, 기분 좋을 땐 ‘뚱띵’이라고 부른다. 잠이 오지 않거나, 여자 혼자 텔레비전을 볼 때 장난삼아 섹스를 한다. 또 옆집 달구네가 시끄러워지면 싸우는 소리 듣기 싫어 섹스를 한다. 여자는 수입이 일정하지 않은 장사 때문에 항상 안절부절못하며 전어철이 돌아오기를 손꼽아 기다린다.

옆집 달구는 거의 매일 술에 취해 노모를 상습적으로 구타한다. “이런, 꺼억, 시벌년”하면서 주먹을 휘두른다. 노모는 그 누구도 들어갈 수 없는 좁은 틈으로 몸을 감추며 매일 밤을 보낸다.

이들의 왜곡되고 폭력적인 관계는 ‘귀뚜라미’라는 태풍이 섬을 휩쓸면서 끝난다. 바람횟집 여자는 어렵게 구한 전어가 태풍에 휩쓸려 가자 그것을 건지려다 파도 속에서 사라진다. 달구의 노모는 아들에게 맞을 때마다 피하던 좁은 틈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물속에 잠기고 만다.

작가는 쳇바퀴 굴러 가듯 반복되는 가난한 삶을 가진 주인공들에게 그들이 처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노력도 희망도 주지 않는다. 자신이 마련한 돈을 가지고 사라져 버리는 여자를 붙잡지 않는 남자(‘광어’), 생계수단으로 부인의 포주 노릇을 하는 남편과 이를 수용하는 부인(‘밤의 조건’), 자신의 가족을 잔인하게 죽이고 처음 본 여자의 집에서 자살하는 남자(‘구두’) 등 그들만의 세상에서 앞으로 나아가기란 죽을 만큼 힘겨운 일이다.

평론가 김형중씨는 “백가흠 소설의 주인공은 남자이며, 모성애의 원형적인 질투에 기인한 경쟁과 소유욕으로 점철된 잔인한 폭력성이 ‘피학적 헌신’, ‘가학적 폭행’, 강간, 신성모독 등으로 사랑을 표현하게 하고 있다.”면서 “백가흠은 남성 판타지와 폭력성에 대한 심리학적 탐구에서, 철학적 탐구로 이행해 가는 도정에 있다.”고 작품세계를 평했다. 1만원.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05-21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