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폭탄·미래 에너지 두 간극에 서 있는 원자력

죽음의 폭탄·미래 에너지 두 간극에 서 있는 원자력

입력 2011-05-28 00:00
업데이트 2011-05-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자력 딜레마】 김명자 지음/사이언스북스 펴냄

원자력은 인류의 거대한 희망인가, 당장 폐기해야 할 악인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계는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이른바 ‘원자력 딜레마’다. 가장 완벽한 방어시스템을 갖췄다는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가 쏟아지고 반대론이 비등한다. 실제로 많은 나라들은 원전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거나 중단을 선언하고 나섰다. 대안 에너지의 희망에 한껏 들떠있던 ‘원자력 르네상스’가 급속히 퇴조하는 지금 우리는 어떤 길을 택해야 할까.

에너지와 식량, 수자원의 3대 전략적 자원 확보를 둘러싼 국제적 갈등과 분쟁이 가열되면서 원자력은 가장 최적의 대안으로 급속히 부각됐다. 이른바 ‘원자력 르네상스’의 도래다.

이처럼 원자력이야말로 에너지 안보의 대안이란 목소리가 드높지만 폐기해야 마땅한 잘못된 기술이란 주장 역시 만만치 않다. 그런 가운데 터진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원자력에 대한 세계적 관심과 열기를 급냉각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이 원자력 딜레마를 풀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 ‘원자력 딜레마’(김명자 지음, 사이언스북스 펴냄)는 그 화급한 명제에 용기 있게 도전한 책이다.

‘헌정사상 최장수 여성 장관’이란 수식어가 따라붙는 전 환경부 장관이 저자. “스페셜리스트가 아닌 제너럴리스트의 관점에서 썼다.”는 겸손과는 달리 책은 원자력 산업의 어제와 오늘, 내일을 꼼꼼하게 파고든다. 결론적으로 말해 저자는 책에서 원자력을 “완전한 기술도, 완성된 기술도 아닌, 미완의 기술.”이라 말한다. 물론 그 주장의 바탕에는 원전 사고가 부를 엄청난 부작용에 대한 방비와 대응방식이 미흡하다는 데 있다.

“안전과 신뢰야말로 알파이자 오메가”라는 저자는 그래서 원자력을 “현재와 미래를 잇는 징검다리 에너지(bridge energy)로 평가한다. “원자력의 한계와 필요성을 모두 아우르면서 원자력을 지속 불가능한 에너지 체제를 가진 현재와, 신재생 에너지와 에너지 효율화 기술에 기반을 둔 미래의 연결고리”로 보자는 것이다.

다른 대안인 풍력, 태양력이 현재 기술 수준으론 원전을 대체할 만큼의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하고 있고 늘어가는 전력수요을 충족시킬 원자력의 활용은 적어도 지금 당장은 어찌할 수 없는 대안이란 주장이다.

결국 저자는 ‘죽음의 폭탄’과 ‘번영을 가져올 미래의 에너지원’의 간극에 있는 원자력의 안전한 사용과 관리를 위해 신뢰에 바탕한 ‘에너지 리더십’이 시급하다고 역설한다.

“신뢰받을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고안해서 진솔한 자세로 과거의 원자력 정책을 돌아보고 새로운 길에 대해 끝장토론을 하다 보면 모범답안을 향해 한 걸음 두 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2만원.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2011-05-28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