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에도 지름길 있나요

행복에도 지름길 있나요

입력 2011-05-28 00:00
업데이트 2011-05-28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류문인 단상 모음 ‘행복하게 사는 법’

영화 ‘브루스 올마이티’(2003)를 본 사람이라면 기억날 게다. 번잡하고 힘든 일들은 브루스(짐 캐리)에게 맡겨 두고 휘휘 휴가를 떠나던 신(모건 프리먼) 말이다. 전지전능한 신조차 늘 행복하지는 않은 듯하다.

신의 권능을 물려 받은 브루스가 “내 뜻대로 될지어다.”(My Will Be Done)라고 자신 있게 읊조렸어도, 정작 그가 행복해진 건 신의 권능 때문이 아니었으니 말이다.

신조차 그런데 장삼이사들이야 더 말할 게 없다. 저마다 어려움을 달고 사는 세상. 행복해지는 법은 없을지도 모른다. 그저 행복하게 사는 것 외엔.

‘행복하게 사는 법’(박완서 외 21명 지음, 숙란문인회 엮음, 연암서가 펴냄)은 여류 문인들의 행복에 관한 단상들을 모은 작품선이다. 시, 소설, 수필, 희곡, 평론 등 각기 다른 장르에서 활동하는 문인들의 어릴 적 이야기와 학창 시절, 현장을 살아가는 삶의 이야기, 그리고 나이듦 등을 소재로 쓴 글들을 빚어 묶었다. 작가이기 이전에 한 명의 자연인으로서 살아온 삶의 편린들이 담백하게 녹아 있다.

한혜숙은 레인 마니아 편에서 “나는 비오는 날은 어머니 자궁 속 양수에 떠 있는 것 같이 편안해 진다.”고 했다. 그런데 수확철, 한 줌 햇살에 목말라 하는 농부들도 그럴까. 결국 모두를 만족시키는 완벽하고 우아한 행복이란 없다고 봐야 한다.

고(故) 박완서를 행복하게 해준 건 “사랑 받은 기억”이었다. 산골 벽촌에서 태어나 아버지 없는 결손 가정에서 자라난 그에게 세상은 부족한 것 천지였다. 넉넉한 것이라고는 사랑밖에 없었다. 칭찬 받고 귀염 받은 기억, 그게 “이른 새벽 잠 달아난 늙은이의 마음을 한없이 행복하게 해 줬다.”(‘행복하게 사는 법’)고 그는 회고했다.

책은 행복해지는 방법, 혹은 행복으로의 지름길을 일러 주지는 않는다. 되레 ‘너 자신의 행복을 알라.’는 주문이 많다. 정연희의 ‘새와 꽃의 살림살이’가 의미심장하다. “꽃은 저 혼자 피고 저 혼자 시든다. 그냥 저의 삶을 살고 있을 뿐이다.

누구의 열광과 찬사와 갈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저 저의 때를 따라 제 삶을 살 뿐이다. 새는 저의 지저귐이 듣는 이의 마음을 뒤흔든다는 것을 모른다. 꽃은 저의 자태가 아름답다는 것을 알 리가 없다. 누구에게 들려줄 일이 없는 새 소리는 그래서 영원과 이어지고, 누구의 눈에 띄기를 바라는 일이 없는 꽃은 그래서 황홀하다.” 당신은 이미 충분히 행복하다는 얘기다. 당신만 그걸 모를 뿐. 1만 3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05-28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