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이 쓴 ‘비행記’

기장이 쓴 ‘비행記’

입력 2011-10-15 00:00
업데이트 2011-10-1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의 아름다운 비행】신지수 지음 책으로여는세상 펴냄

비행의 순간을 상상해 보자. 200t이 넘는(에어버스 330 최대 이륙중량 기준) 거대한 동체가 중력을 이기고 하늘로 날아오른다. 두꺼운 구름층을 요동치며 뚫고 올라간 비행기는 한순간 파란 하늘과 맞닥뜨린다. 절대 고요의 세계. 아래를 내려다보면 까마득하다. 무저갱(無底坑)의 맨 윗자락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이다.

겉보기엔 아름답지만 그 하늘은 위험하다. 해발 약 8000m 상공에선 시속 100㎞에 달하는 바람이 예사로 불고, 기온은 영하 50도를 넘나든다. 간혹 터뷸런스(난기류)라도 만나면 날개는 출렁대고, 덩달아 기체도 위아래로 요동친다.

좌석에서 온몸이 오그라드는 비행 공포증과 싸우고 있자면, 불현듯 콕피트(조종석) 안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지 궁금해진다. 그들도 나와 같을까. ‘나의 아름다운 비행’(신지수 지음, 책으로여는세상 펴냄)은 이 같은 비행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결해 주는 책이다. 현직 민간 항공기 기장이 자신의 경험 가운데 정수만을 골라 썼다.

비행기가 하늘로 날기까지는 생각하기 싫을 만큼 복잡한 메커니즘이 작용한다. 하나라도 어긋나서는 안 되는 과정들이다. 수많은 자료와 정보, 쉴새 없이 이어지는 의사결정 과정의 끝자락에 서 있는 이가 ‘기장’이다. 오죽하면 저자가 ‘글쎄, 모르겠는데….’ ‘마음대로 해.’ 등 “속 편한 말들만 내뱉으며 살고 싶다.”고 했을까.

책은 모두 9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졌다. 폭설이 내리는 날의 비행 이야기, 신출내기였던 대한항공이 무사고 항공 여객사업 10년을 이끌어 내기까지의 과정들, 고된 훈련 끝에 조종사 시험에 합격하던 날의 이야기, 선더스톰(뇌우)을 가르며 배웠던 삶의 지혜, 9·11 테러가 있던 날의 웃지 못할 해프닝, 여객기가 아닌 화물기 조종사로 살아가는 특별한 재미, 아찔한 위기의 순간 등이 소설처럼 그려져 있다.

어찌 보면 한 개인의 신변잡기라고도 할 수 있는 책이 이처럼 관심을 끄는 건 저자와 나, 그리고 우리 사이에 공통의 관심사가 놓여 있기 때문이다. 바로 ‘우리는 어떤 과정을 거쳐 안전한 비행을 하는가.’이다. 단순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관심사를 공유하는 까닭에 저자와 독자 사이에는 절묘한 동질감이 형성된다.

에피소드 하나하나의 내용도 소설 뺨치게 재밌다. 잘 조탁된 언어로 여러 상황들을 쉽고 조리있게 설명하고 있다. 종종 스릴러물처럼 긴장의 ‘도가니’ 속으로 몰아넣기도 한다. ‘위대한 평지’에 앉아 책을 읽으면서도, 구름을 뚫고 나가기 직전의 요동치는 비행기 속 승객의 심정이 되는 것도 그런 까닭이지 싶다. 1만 2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10-15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