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실의 궁릉 의물’ 발간
한국전쟁 때 불법 반출됐다가 최근 미국에서 압수된 대한제국 국새와 조선왕실 어보 등 인장 9점은 역사적 의의와 더불어 조선 왕실 문화의 정수를 담은 공예품으로서의 가치도 지니고 있다.조선은 국왕의 권위와 왕실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해 유교적 예제에 따라 국혼·국장·종묘대제와 같은 왕실 의례를 국가적 행사로 치렀는데 이때마다 최고의 인력과 물질을 동원해 궁궐, 왕릉, 종묘에 최고의 왕실 의물(儀物)을 제작했다.
장경희 한서대 교수가 펴낸 ‘조선왕실의 궁릉 의물’(민속원)은 규장각과 장서각이 소장한 ‘도감의궤’의 문헌 기록을 씨줄로, 5대 궁과 왕릉 및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현존 왕실공예품 유물을 날줄로 삼아 조선 왕실 공예품의 제작 과정과 미적 특질을 살펴보고, 왕실의 삶과 문화를 현재적 관점에서 복원한 조선 왕실공예사 연구다. 1부는 왕실의 기쁜 날, 궁궐 내 정전과 침전에서 거행되는 가례(嘉禮)와 관련된 의물을 중심으로 다뤘다. 왕실 행사 중 하이라이트는 국왕의 즉위식이다. 즉위식에서 새 국왕은 왕권을 상징하는 대보(大寶), 혹은 옥새를 물려받는다. 외교문서에 사용되는 대보는 상징성 때문에 여러 겹의 상자에 담아 전달한다. 조선 왕실의 의식을 그린 그림이나 반차도에는 정전 내에 대보와 그것을 담은 상자 등이 그려져 있는데 이를 통해 행사의 중요성과 상징성을 엿볼 수 있다.
2부는 궁궐의 편전과 왕릉에서 거행되는 흉례(凶禮) 때 사용된 의물을, 3부는 왕실의 제삿날, 종묘에서 거행되는 길례(吉禮) 때 사용된 의장의물을 중심으로 살폈다.
장 교수는 책 말미에 조선시대 궁궐과 왕릉 및 종묘의 의물이 훼손된 채 방치되거나 잘못 복원된 현실을 지적하면서 문화재 정책 당국의 관심을 촉구했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11-26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