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희덕 시인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펴내
“삶이라는 게 덜어 내고 떠나 보내면 가벼워질 것 같은데 그 부재의 무게가 우리 삶을 더 묵직하게 채워요. 시라는 건 있는 것들을 노래하기보다 부재하는 것들을 불러오고, 그 부재의 자리를 더 강력하게 증명하는 일이죠. 그게 삶에나 시에나 다 해당되는 역설 아닐까요.”시집을 낼 때마다 호응하는 고정 독자층을 거느리고 있으면서도 나희덕(조선대 문예창작과 교수) 시인에게 시 쓰기는 여전히 힘든 작업이다. “시력(詩歷)만큼의 깊이와 새로운 모색을 보여줘야 할 것 같아서, 내 정직한 얼굴을 되돌아보는 일이 힘들어서 갈수록 시집을 내는 게 두렵다”고 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나희덕(48) 시인의 신작은 이런 삶과 시의 역설이 밑그림을 이룬다. 말띠 시인이 말띠 해에 내놓은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문학과지성사)이다. ‘야생사과’(2009) 이후 5년 만이다.
일곱 번째 시집을 쓰는 동안 시인은 남동생, 동료 문인 등 가까운 사람들을 떠나 보냈다. “겉으로는 생활의 활기를 유지하려 했지만 안으로는 피 흘리는 시간이었다”는 그의 말을 빌리면 “이별, 사별 등 상실의 경험이 애도의 되새김질을 통해 부려진 시편들”이다. 2, 3부가 개인·사회적 죽음에 대한 상실이라면 1, 4부는 사랑, 관계의 힘으로 이를 감싸안는 모습이다. 그래서 시에는 죽음의 정조가 낮게 드리운 동시에 생명의 충동이 공존한다.
‘제게 입김을 불어넣지 마십시오./당신 옷깃만 스쳐도/저는 피어날까 두렵습니다./곧 무거워질 잎사귀일랑 주지 마십시오./나부끼는 황홀 대신/스스로의 棺이 되도록 허락해주십시오./부디 저를 다시 꽃 피우지는 마십시오.’(어떤 나무의 말)
“겉으로는 시인으로서, 직업인으로서 안정된 길을 걸어온 것같이 보이지만 30~40대에 격변이 많았어요. 그래서 인간의 희로애락이 주는 피로감, 허무감이 일찍 찾아왔고 거기에 휘둘리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컸죠.”
시인의 데뷔작 ‘뿌리에게’를 기억하는 독자라면 이번 시집의 ‘뿌리로부터’는 올해 등단 25주년을 맞는 나희덕 시의 변화를 한눈에 부감할 수 있는 작품이다.
‘한때 나는 뿌리의 신도였지만/이제는 뿌리보다 줄기를 믿는 편이다/(중략)/뿌리로부터 멀어질수록/가지 끝의 이파리가 위태롭게 파닥이고/당신에게로 가는 길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중략)/우리는 뿌리로부터 온 존재들, 그러나 뿌리로부터 부단히 도망치는 발걸음들.’(뿌리로부터)
“아직도 제 시의 이미지를 따뜻함, 단정함, 모범생다움 등으로 떠올리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게 너무 싫었어요. 거기서 벗어나려 몸부림쳤죠. 쓰는 방식도 바뀌었어요. 과거엔 경험이나 관찰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데 초점을 뒀다면 이제는 시가 먼저 내 삶을 선취하고 그에 따라 제 삶이 역동적이고 자유롭게 변한다고 할까요. ‘뿌리로부터’에서도 보이듯 대지의 안정을 박차고 나가 새로운 것을 찾아 나가는 태도는 시인의 역할이자, 시를 쓰는 이유이기도 하죠.”
안식년을 맞은 2012년 영국에 체류하면서 소수자, 이방인의 눈으로 발견한 풍경들도 시어로 직조됐다. 시인은 한국 사회에서 교수, 교사 등을 하면서 누렸던 것들, 삶의 군더더기들을 내려놓고 이국의 거리에서 만난 노숙자, 노동자, 식당 웨이터를 동류(同流)로 느꼈다고 했다. “우두커니 강물과 바다를 바라볼 수 있어 축복”이었다는 시간 속에서 표제시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이 잉태됐다.
‘흰 갈기와 검은 발굽이/시간의 등을 후려치는 채찍처럼/밀려오고 부서지고 밀려오고 부서지고 밀려오고/(중략)/지금은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수만의 말들이 돌아와 한 마리 말이 되어 사라지는 시간/흰 물거품으로 허공에 흩어지는 시간.’
“높게 이는 파도를 보노라니 하얀 거품을 밀고 말(馬)들이 밀려 올라오는 듯했어요. 어느 순간 마음을 옥죄고 있던 고리가 뜯어져 나가는 기분이었죠. 내 안에서 말(馬)의 형상 하나가 끝없이 밀려오는 말(言)들을 불러내 데려가는, 내 안에 힘들어했던 자아를 이끌어내는 것 같았어요. 불화했던 나 자신과 화해하는 시간이었죠.”
이렇게 ‘자유로워진 나’로부터 시가 쓰이길 바란다는 시인의 얼굴이 편안해 보였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1-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