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데이터 뚫고 인간의 존엄 지키려면

빅 데이터 뚫고 인간의 존엄 지키려면

입력 2014-12-20 00:00
수정 2014-12-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검색되지 않을 자유/임태훈 지음/알마 펴냄/324쪽/1만 7500원

하루가 다르게 변해 가는 정보시스템의 발전상과 변화 속도는 이른바 ‘감시 사회’의 어두운 미래를 더욱 가깝게 느끼게 한다. 얼마 전 발생한 이른바 ‘카카오톡 사찰’은 그 전조 현상의 아주 미미한 부분일 뿐이란 관측도 있다. 조지 오웰 소설 ‘1984’ 이래 끊임없이 제기돼 온 빅 브러더의 끝은 어디이고, 그 돌파구는 무엇일까.

이미지 확대
‘검색되지 않을 자유’는 지식인들이 한결같이 예고하는 강도 높은 ‘감시 사회’의 전망과 해결책을 함께 짚어본 책으로 눈길을 끈다. 빅 데이터 기술로 끝 모르게 정교해져 가는 정보자본주의에의 경고와 함께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를 정리했다. 철학과 사회학, 신경생리학, 건축공학, 전자·정보통신공학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분석해낸 ‘빅 데이터 시대’의 개괄서인 셈이다.

정보자본주의란 지식과 인지가 부의 원천이자 중심이 되어가는 새로운 경제구조를 말한다. 책은 그 체제에서 탁월하게 통제 가능한 자원으로 전락하는 인간의 존엄을 지켜내고 공통으로 자율을 유지,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정보자본주의가 길러낼 인간을 ‘호모 익스펙트롤’(기대와 조정이 가능한 존재)로 명명한 저자가 제시하는 돌파구는 무엇일까. 책에서 그 방식은 의외로 다양하게 제시된다. 이를테면 지금의 ‘시각 중심주의 폭력’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기존의 소리 체계에서 이탈하는 노이즈를 만들어 빅 데이터의 포위를 돌파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특히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데이터가 지워져 ‘호모 익스펙트롤’을 양산하는 검색 시도를 근본적으로 막는 ‘시한부 데이터’의 가능성 대목이 흥미롭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12-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