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도 한민족의 역사” 잊혀진 제국을 깨우다

“발해도 한민족의 역사” 잊혀진 제국을 깨우다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7-02-14 18:14
업데이트 2017-02-14 18: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실학자 유득공이 쓴 ‘발해고’ 4권본 국내 첫 번역출간

국내에 현존하는 최초의 발해 역사서이지만 역사서가 아닌 역사 기록은 무엇일까. 바로 조선의 실학자인 유득공(1748~1807)이 쓴 ‘발해고’(渤海考)다. 그동안 대중에게 소개되지 않은 발해고 4권본이 국내 처음으로 번역돼 출간됐다. 역사 저술가 김종성씨가 옮긴 ‘발해고-우리가 버린 제국의 역사’(위즈덤하우스)다.
이미지 확대
발해고는 조선 시대 당시에도 도전적 저작이었다. 백제·고구려가 멸망하고 신라가 살아남아 통일국가가 됐다는 기존 역사 인식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며 신라와 발해의 남북국 시대를 주창했다. 발해를 고구려의 후계자이자, 삼국시대 이후에도 신라와 발해가 병립했다는 역사 인식을 제시한 이가 유득공이다.

이는 발해를 한민족 역사로 규정하며 조선의 강역을 대륙까지 확장한 역사관이었다. 유득공은 만주 서부를 우리 땅인 ‘변한’으로 지칭했으며, 그의 의지대로 발해고는 후대에 북방 영토에 대한 관심을 일으키는 기폭제가 됐다.

우리에게 알려진 발해고는 유득공이 1784년(정조 8년)에 펴낸 1권본(초판본에 해당)이다. 이번에 번역된 발해고는 4권본으로, 유득공이 상당 세월이 흐른 후 다시 쓴 개정판이다. 그의 문집 ‘영재서종’에 남겨진 기록을 도서 소장가 심의평이 필사해 전한 판본이다.

4권본의 글자 수는 1만 9546자로, 1권본의 1만 4144자보다 많다. 발해의 역대 인물을 다룬 ‘신하고’의 경우 1권본에 없는 32명이 새롭게 등장한다. 유득공은 발해의 지리를 설명한 ‘지리고’를 4권본에서 거의 다시 쓰다시피 했고, 외교문서를 다룬 ‘예문고’에는 당나라 현종이 발해 무왕에게 보낸 서한 4개를 추가했다. 1권본보다 내용과 논평이 크게 늘어난 이유다.

하지만 1권본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남북국’을 기록한 서문은 4권본에는 없다. 이에 대해 김종성씨는 “4권본에 서문이 실수로 누락된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처음부터 4권본 서문이 없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유득공이 발해사 연구를 진전시켜 4권본보다 발전된 개정본을 쓰기 위해 의도적으로 서문을 쓰지 않은 것으로 이해된다”고 말했다.

유득공이 자신의 저작을 발해사가 아닌 ‘미완의 원고’라는 뜻을 담은 발해고(考)로 명명한 이유와도 일맥상통한다.

김종성씨는 “발해고를 처음 출간할 때 ‘감히 정식 역사서로 자처할 수 없다’고 밝힌 유득공의 고뇌가 4권본에도 이어졌다”며 “4권본 번역본이 잊혀진 제국인 발해를 인식하는 주춧돌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 책은 한자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실어 유득공의 뜻을 충실히 읽어낼 수 있도록 펴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7-02-15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