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랑비처럼 스며드는 도박… ‘중독의 늪’ 눈물겨운 탈출기

가랑비처럼 스며드는 도박… ‘중독의 늪’ 눈물겨운 탈출기

김성호 기자
입력 2020-07-30 17:40
업데이트 2020-07-31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쩌다 도박
신영철 최삼욱 하주원 지음/블루페가수스/332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우리 주변에 다양하게 스며 있는 도박은 중독과 범죄의 심각성에 비해 경각심이 크지 않은 영역이다. 대부분 재미 삼아 한두 번 해보다가 어느 순간 중독의 늪에 빠져들고 만다. 특히 심리적 유혹뿐 아니라 돈 문제 등 여러 요인이 얽혀 있어 한 번 빠지면 헤어나기 힘들다.

‘어쩌다 도박’은 국내 최고 도박중독치료 전문의 세 명이 도박 중독에서 탈출하지 못해 힘겨워했던 중독자, 가족들과 8주간 상담, 치료하며 함께 울고 웃었던 기록이다. 각종 효과적인 치료 기법을 망라해 한국 문화에 맞는 치료법을 제시한다.

한국은 `도박 공화국´의 오명을 받아온 지 오래다. 로또, 소싸움 등 일곱 가지 도박이 합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주식이 투기로 변질돼 도박화했고 누구든 인터넷과 스마트폰 클릭으로 도박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저자들은 ‘어쩌다’로 시작된 도박이 ‘중독’이라는 질병으로 이어진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강조한다. 한국에서 도박중독에 빠진 사람은 수십만명에 달하고 치료받기까지 10년 넘게 걸린다고 한다. 엄청난 중독 규모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소홀한 건 바로 도박 중독을 질병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사회 풍토와 인식 부족 탓이 크다.

도박이 단순히 심리적 문제,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일종의 뇌 기능 장애라는 관점에서 중독이 왜 생기고 얼마나 위험한지, 벗어나기 위해 뭘 해야 하는지를 납득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저자들은 무엇보다 도박 중독은 `병’이라는 사실을 먼저 인정하라고 강조한다. 특히 치료는 90%가 아닌 100%를 목표로 해야 하며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마라톤을 뛰는 자세를 가질 것을 조언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07-31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