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만명에게 1만점의 반가사유상… 유물 보면 날 깨닫는 순간 오죠”

“1만명에게 1만점의 반가사유상… 유물 보면 날 깨닫는 순간 오죠”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5-18 22:16
업데이트 2022-05-19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년차 큐레이터 정명희

책 ‘멈춰서서…’ 유물 39점 소개
“마음 상태 따라 유물도 달라져
숨은 이야기 알려면 시간 필요”

이미지 확대
정명희 큐레이터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작품이자 자신의 책에 소개된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아브 궁전 유적 벽화 모사도’ 앞에서 미소 짓고 있다.
정명희 큐레이터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작품이자 자신의 책에 소개된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아브 궁전 유적 벽화 모사도’ 앞에서 미소 짓고 있다.
“마음 상태에 따라 다가오는 유물이 달라지니까 유물 앞에 머무르며 멈추는 시간을 갖다 보면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되는 순간도 올 겁니다.”

박물관은 대개 어렵고 따분한 곳으로 여겨진다. 학창 시절 원치 않게 학교에서 단체로 갔던 기억에 더해 유물들을 주로 머리 아픈 역사책에서나 접한 영향이 크다. 시간을 내서 굳이 유물을 찾아가고, 그곳에서 오래 머무는 사람은 어쩐지 지루하게 보인다.

그럼에도 박물관을 찾아 유물과 대화하듯 오래 머무는 이들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20년차 큐레이터 정명희(49·학예연구관)씨가 최근 낸 책 ‘멈춰서서 가만히’는 ‘유물 앞에 서 있는 사람은 뭐가 좋을까’에 관한 이야기다. 최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난 정씨는 유물과의 만남을 인간관계에 비유했다. 단편적인 정보로 알게 된 상대방과 직접 만나 대화하고 알아가는 상대방이 다르게 다가오듯 유물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유물은 물건을 쓴 사람이 기록하고 남기고 싶어 했던 흔적이에요. 남겨진 것이 어떤 이야기를 가졌는지 알려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누군가가 어떤 사람인지 만나 보고 대화를 나누며 관계를 넓혀 가는 것이나 유물을 알아 가는 것이나 똑같아요. 귀 기울이지 않으면 들리지 않는 소리를 듣고 나와 유물과 특별한 관계가 되는 거죠.”

책에는 반가사유상처럼 유명한 유물부터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유물까지 39점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저자 자신은 물론 주변 사람들이 각자의 사연 속에 관계를 맺은 유물이다 보니 ‘꼭 봐야 할 유물 목록’ 같은 것과는 거리가 있다. 정씨는 “박물관 동료가 하나 정도는 겹칠 줄 알았는데 자기가 좋아하는 유물은 없었다고 하더라”라며 웃은 뒤 “제가 만난 고수들의 이야기를 통해 아직 유물과 친해질 기회를 얻지 못한 사람들에게 다리를 놓아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고수들의 이야기를 썼지만 정씨는 박물관 관람이 꼭 고수들의 일만은 아니라고 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가 발달하면서 유명 연예인이 다녀간 곳이나 고 이건희 삼성 회장의 소장품 전시회처럼 박물관도 많은 이가 찾고 싶어 하는 핫플레이스가 됐다. 반가사유상이 있는 ‘사유의 방’은 방탄소년단(BTS)의 리더 RM(김남준)이 찾으면서 전 세계 아미(BTS 팬클럽)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다만 인증샷 문화로 인해 빠르게 사진만 찍고 떠날 수도 있다는 점이 많은 고민 끝에 전시 유물을 선정하는 큐레이터로서는 서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씨는 유물과의 관계가 시작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봤다.

“유명인들을 따라 하면서 그 사람이 왜 좋아했을까 생각해 보고 ‘이게 그거구나’ 하면서 유물을 알아차릴 시간을 주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1만명의 사람에게 1만 점의 반가사유상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데, 내가 보기에 좋은 것이 의미 있을 거라 믿고 박물관에서 좋은 경험을 쌓아 갔으면 합니다.”
글·사진 류재민 기자
2022-05-19 23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