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종주국’의 그림자…네이버·카카오 매출 늘고 작가 수입 줄어

‘웹툰 종주국’의 그림자…네이버·카카오 매출 늘고 작가 수입 줄어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4-01-18 16:25
업데이트 2024-01-18 1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3 웹툰 실태조사 중 작가들의 연간 수입 응답. 문체부 제공
2023 웹툰 실태조사 중 작가들의 연간 수입 응답. 문체부 제공
웹툰 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확장하고 있지만, 작가들 수입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웹툰 플랫폼 사의 매출은 껑충 뛰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3 웹툰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사업체와 작가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2022년을 기준으로 했다.

웹툰 산업 매출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829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의 약 1조 5660억 원 대비 2630억원 증가하면서 16.8%의 성장률을 보였다. 실태조사를 처음 시작한 2018년 이래 5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다.

특히 네이버나 카카오 등과 같은 플랫폼 사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이들 매출액은 전년 8241억원 대비 36.8% 증가한 1조 1277억원으로, 1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반면 웹툰 작가의 연평균 수입은 크게 줄었다. ‘최근 1년 동안 1년 내내 연재한 경우’는 9840만원이었지만, ‘최근 1년 이내 연재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6476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2030만원, 2097만원 감소한 수치다.

수입이 줄었지만, 웹툰 작가의 근로 시간은 소폭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일주일 중 창작을 하는 평균 일수는 5.8일로 전년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7일’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전년 37.2%에서 33.1%로 4.1%포인트 감소했다. 일주일 중 창작하는 날의 평균 소요 시간은 9.5시간으로, 전년 대비 1시간 줄어드는 데 그쳤다.

표준계약서 활용에 대한 사업체와 작가 간 인식 차도 여전했다. 계약 관행 중 서면계약 체결 여부에 대해 사업체의 98.2%가 ‘그렇다’라고 응답했지만, 작가의 경우 그보다 다소 낮은 83.9%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표준계약서 활용 면에서도 그대로 또는 변형해 활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사업체는 81.9%인 반면, 작가들은 48.7%에 불과해 큰 차이를 보였다.

플랫폼과 수입이 크게 뛰고 작가들의 수입이 크게 줄어든 것을 두고 문체부 관계자는 “코로나19 관련 제한조치 완화에 따라 웹툰 이용 횟수가 감소한 반면, 산업 내 경쟁이 심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플랫폼 사가 외국 진출에 성과를 거두었고, 고액 연봉의 웹툰 작가들이 소속사를 차리면서 통계에 잡히지 않는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처음으로 웹툰 제작 시 AI를 활용할 의향이 있는지 조사했다. 사업체의 경우 ‘의향 있음’은 41.2%, 작가들은 36.1%으로 전반적으로 사업체보다 낮게 나타났다.

문체부는 웹툰 산업과 관련 국가 중심의 시의성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조직과 예산 강화, 인재 양성, 해외 진출, 법‧제도 개선 등의 내용이 담긴 ‘만화·웹툰 산업 발전 방향’을 이달 중 발표한다.
김기중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