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두만강’ -희망으로 건너는 마음의 경계

[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두만강’ -희망으로 건너는 마음의 경계

입력 2011-03-11 00:00
업데이트 2011-03-11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마주한 옌볜의 조선족 마을. 그곳에 할아버지, 말 못하는 누이와 함께 창호가 산다. 먹을 것을 찾아 도강한 북한 주민들이 마을에 하나둘씩 나타난다. 북한 소년 정진도 그중 한명이었다. 창호는 공차기에 능한 정진과 축구를 하는 게 즐거웠고, 정진은 주린 배를 채울 음식을 얻을 수 있어 좋았다. 하지만 북한 주민들이 조선족 마을에 소소한 피해를 입히면서 갈등이 싹트기 시작한다. 창호 집에도 불행한 일이 벌어지는데, 탈북 남자가 누이를 겁탈한 걸 알아차린 창호는 정진을 다른 태도로 대한다.

‘두만강’은 재중 동포 장률의 여섯 번째 장편영화다. 2005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제작지원 작품으로 선정되면서 세 번째 작품이 될 뻔했으나, 작품에 대한 그의 각별한 애정 때문에 이후 4년여의 기간을 더 필요로 했다. ‘두만강’ 시사회에서 한 관객은 “북한의 비참한 현실을 더 극적으로 다루지 않았다.”고 따졌다. 염두에 두어야 할 건 ‘두만강’이 경제상황을 포함한 북한의 현실을 고발하는 유의 영화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장률은 한쪽 체제의 입장에서 상대편을 공격하거나 포섭하는 행위를 오히려 저어하는 편이다.

장률의 세 번째 장편영화 제목이기도 한 ‘경계’는 그가 화두로 삼는 주요한 주제 중 하나이며, 그런 점에서 ‘두만강’은 경계의 동의어다. 장률 영화의 인물은 경계를 사이에 두고 산다. ‘벽과 벽, 민족과 민족, 국경과 국경, 체제와 체제, 시골과 도시, 과거와 현재, 남성과 여성’은 점점 더 거대한 경계를 형성해 인간과 인간을 분열시킨다.

장률의 영화에 종종 등장하는 인물인 ‘순희’와 ‘창호’는 동북아시아의 공간을 넘나들면서 인간이 그어놓은 경계를 쓸모없게 만든다. 문제의 본질에 두려움 없이 뛰어드는 순수한 자들에게, 참견하기 좋아하는 어른들은 ‘현실을 먼저 이해하라’고 조언한다. ‘두만강’에서 오누이로 재등장하는 순희와 창호는 그런 인간들에게 절규의 목소리로 저항한다.

경계에 대한 거부감을 품으면서도 장률의 입장은 신자유주의의 기치 아래 국경 없는 시장을 꿈꾸는 인간들의 그것과 정반대에 위치한다. 그의 영화 가운데 가장 동떨어진 것처럼 보이는 데뷔작 ‘당시’에서조차 장률은 ‘인간의 욕심’을 문제로 삼았다. 장률의 영화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건 마음과 마음의 연결이다. ‘두만강’에서 장률은 ‘우표를 모으는 소년과 소녀, 북한과 중국의 샛길로 탈북자를 안내하는 남자, 상상 속의 다리를 공유하는 소녀와 할머니’를 여러 차례 비추며 자신의 희망을 노출한다. 우표와 길과 다리는 본디 인간과 인간을 잇도록 만들어지지 않았던가.

‘두만강’은 가슴이 먹먹한 클라이맥스와 그것에 이어지는 감탄할 만한 판타지로 끝을 맺는다. 조선족 할머니는 타향으로 건너올 때 그랬듯 다시 다리를 건너 북한에 가기를 바라지만, 다리는 오래 전에 없어졌기에 소원을 이루기란 불가능하다. 그런데 ‘두만강’은 기어코 상상의 다리를 시선 앞으로 불러낸다. 몸을 가누기 어려운 노파가 눈보라 치는 다리 위로 위태롭게 발걸음을 옮기다 마침내 다른 쪽에 도달한다. 영화의 판타지가 매서운 현실을 이기는, 실로 감동적인 순간이다. 17일 개봉

영화평론가
2011-03-11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