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링크’

[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링크’

입력 2011-07-29 00:00
업데이트 2011-07-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간 낭비 없는 비극적 질주

4년 전, 초등학교 여학생 수정(곽지민)이 시험을 치던 도중 쓰러진다. 수정의 두뇌를 검사한 의료진은 그녀의 두뇌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이후 국립과학연구소는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수정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감시한다.

또 한 명의 주인공 재현(류덕환)은 동생을 잃고 절망에 빠진 인물이다. 섣불리 자살을 시도해 보지만, 죽음은 그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즈음 입시학원을 운영하는 선배 성우가 도움을 자청하며 나선다. 학원 근처로 집을 옮기고 학원 강사로서 새 삶을 시작하게 된 재현은, 이제 고등학생으로 자란 수정의 특별 과외를 담당한다. 우연히 수정의 능력을 맛본 재현은 판단력을 상실하고 만다. 그는 낯설고 신비한 세계가 죽음으로 이어진 통로임을 알지 못한다.

28일 개봉한 ‘링크’는 그간 미국 독립영화계에서 활동해 온 우디 한이 한국에서 만든 장편 데뷔작이다. 지난 부천영화제에서 ‘링크’를 먼저 본 한 관객은 감독에게 “영화가 왜 이렇게 어둡냐.”고 물었다. 의식의 연결이라는 소재에서 출발한 영화가 너무 무겁게 진행돼 다소 당황했던 모양이다. 하지만 ‘링크’가 누아르 장르로 읽히길 바란 감독으로선 반가운 질문이었을 것이다. 신기하고 행복한 상상, 경쾌하고 날렵한 액션은 여기에 없다. 대신 비극적 운명과 만난 남자가 혼란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악녀의 거미줄이 영혼을 포박하며, 예상하지 못한 음모가 검은 입을 벌린 채 스멀거린다.

누아르 스타일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링크’는 장르의 전통에서 다소 비켜난 작품이다. 영화는 스릴러, 미스터리, 멜로드라마, 호러 장르 사이를 빠르게 오가는데,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혼성 장르 영화 정도가 어울리겠다. 그중에서도 공상과학영화에 더 적합한 판타지와 과감하게 접목한 점이 눈에 띈다.

어둡고 혼란스러운 사회를 반영한 기존의 누아르 영화와 반대로, ‘링크’는 인물에서 사회성을 의도적으로 제거한다. 인물들은 모두 허구 속에서나 있을 법한 존재들이며, 이해하기 어려운 악마적 힘이 그들을 죽음과 불행 속으로 몬다. 의식의 공유를 지배로 해석하고, 그로 말미암은 폭력을 지목했다는 점에서 ‘링크’는 사이버 세계의 환상에 대한 근심처럼 보이기도 한다.

자신을 테스트하려는 상대방에게 수정은 “시간 낭비하지 말죠.”라고 말한다. ‘링크’의 미덕은 그야말로 시간을 허비하지 않는 데 있다. 큰 줄거리를 해치지 않는 한 사소한 가지는 모두 쳐내 버리며, 비극적 결말을 향해 성큼성큼 내달린다. 이러한 부분은 역으로 이야기의 만듦새에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이야기의 틈과 허술한 전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바로 그것이다. 실제로 ‘링크’가 잘 만들어진 영화라고 말하지는 못하겠다. 4살 때 한국을 떠나 얼마 전에 돌아온 우디 한이 한국의 제작 현장에서 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하지 못한 탓일지도 모른다.

어쨌든 흥미로운 점은 ‘링크’의 몇몇 구멍이 오히려 영화의 미스터리를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누아르 같은 장르에선 허술함이 미덕이 되기도 한다. 때때로 의도하지 않은 게 마법을 부리는 곳이 영화의 세계다.

영화평론가
2011-07-29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