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비우티풀’

[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비우티풀’

입력 2011-10-07 00:00
업데이트 2011-10-0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나긴 고통의 여정 끝 잔인하게 아름다운 세상

‘아모레스 페로스’(2000)가 미국에서 개봉됐을 때, 영화평론가 엘비스 미첼은 뉴욕타임스에 ‘새로운 세기의 첫 번째 클래식’이라고 소개했다. 호들갑스러운 감이 있으나 지금까지 그 평가는 유효하다. 남미판 ‘펄프픽션’인 ‘아모레스 페로스’는 라틴 시네마의 폭발을 예언했으며,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는 이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감독으로 성장했다.

이미지 확대




이냐리투는 다음 작품들을 준비하면서 데뷔작과 다른 노선을 취했다. 다양한 인물과 복잡한 내러티브는 여전했지만, 무대를 멕시코 바깥으로 옮긴 이야기는 비극의 색채를 더해갔다. 에너지가 바깥으로 분출되는 ‘아모레스 페로스’와 달리 ‘21그램’(2003)과 ‘바벨’(2006)은 내면에 슬픔을 켜켜이 쌓아둔 인물을 이야기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비우티풀’은 그 노선을 연장한다. 고통의 심연에서 빠져나오려고 몸부림치는 인물이 다시 한번 우리 앞에 선다.

욱스발(하비에르 바르뎀)은 스페인으로 밀입국한 사람들을 현장과 연결해 주는 인력중개인이다. 그는 법망을 교묘히 피해 돈을 벌면서도 밀입국자의 열악한 삶을 부담으로 느끼는 이중성을 지닌 남자다. 약아빠진 사람은 아닌 거다.

우울증에 시달리는 아내와 헤어지고서 두 아이를 헌신적으로 보살피던 중 시한부 판정을 받는다. 전처에게 두 아이를 맡겨 보지만, 그녀의 고질병은 아이들에게 독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욱스발에게는 망자(亡者)와 대화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죽은 자가 못다 한 말을 듣고 싶은 사람들은 그를 찾곤 한다.

‘비우티풀’의 대다수 인물은 하루하루를 허덕이며 산다. 중국과 세네갈에서 건너온 사람들은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으면서도 이를 악문다. 돈에 연연하는 점에서 욱스발도 다를 바 없다. 노동력을 착취하는 곳으로부터 돈을 받는 것은 물론, 죽은 자의 말을 전해 주면서도 푼돈을 챙기는 그의 모습은 연민을 불러일으킨다.

어릴 때 부모를 잃은 욱스발은 아마도 지난한 삶을 살았을 것이다. 자기 아이들에겐 번듯한 삶을 보장해 주고 싶기에 그는 지독할 정도로 돈벌이에 몰두한다. 욱스발처럼 영적 능력을 지닌 노파가 “아이는 우주가 키워준다.”고 충고하자 그는 “우주가 전셋집을 마려해 주진 않는다.”고 대꾸한다. 병세가 심해지는 순간에도 돈을 세는 그가 어리석어 보인다면, 노후자금과 학자금 마련으로 허리가 휘는 우리 자신을 되돌아볼 일이다.

곧 세상과 이별을 고할 욱스발의 눈에 세상은 아름답다. 반면 그가 발을 딛고 사는 바르셀로나의 하층민 구역엔 온통 죽음과 상실과 고통이 새겨져 있으니 어쩌면 좋을까. 아름다운 세상을 선물하지 못할까 봐 노심초사하는 마음은 천장에 달라붙은 모습으로 표현된다. 끝내 떠나기를 주저하는, 그래서 천국에 오르지 못하는 그는 천장에서 아등바등한다.

프롤로그와, 프롤로그를 뒤집은 에필로그 사이로 화면비율이 바뀌는 영화다. 와이드스크린에 비친 손과 반지, 눈 숲의 아버지와 아들을 주목하게 하기 위함이리라.

기나긴 고통의 여정 끝에서 욱스발은 인간이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 수 있음을 깨닫는다. 아이처럼 순수하고 마음이 가난한 사람, 그리고 그런 사람 사이의 약속이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비우티풀’은 믿는다.

몇몇 관념적인 장면의 지루함을 버틸 수 있다면 충분히 감동을 맛볼 수 있는 작품이다. 13일 개봉.

영화평론가
2011-10-07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