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 남자의 성장 다룬 ‘비기너스’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남자의 성장 다룬 ‘비기너스’

입력 2011-11-04 00:00
업데이트 2011-11-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지 말고 행복하게 어떤 시작도 늦지 않으니깐

2003년 로스앤젤레스. 그래픽 디자이너 올리버(이완 맥그리거·오른쪽)가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아버지의 집을 정리하는 중이다. 아버지 할(크리스토퍼 플러머)은 75살의 나이에 아들 앞에서 자신이 게이라고 밝혔다. 44년을 해로했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지 6개월이 지난 후였다. 새로운 삶을 살아보고 싶다던 아버지는 남은 시간을 허비하지 않았다. 그리고 4년이 지나 암으로 삶을 마쳤다.

이미지 확대




상실의 아픔에 빠져 지내던 올리버는 친구의 손에 끌려간 파티에서 프랑스 여배우 애나(멜라니 로랑·왼쪽)와 만난다. 후두염에 걸려 말을 하지 못하는 그녀의 신비한 매력은 올리버를 끌었고, 38살의 남자는 사랑에 빠진다. 올리버는 직업상 호텔에 묵는 그녀에게 자기 집에서 함께 지내자고 제안한다. 하지만 과거의 상처를 지닌 두 사람은 이제 막 시작된 사랑을 두고 머뭇거린다.

소년 시절 올리버는 따뜻하게 손 한번 잡아주지 않는 아버지에게 거리감을 느끼며 자랐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단지 서로 사랑하지 않는 까닭에 서먹서먹해 보인다고 짐작했다. 부모의 불편한 모습은 올리버가 인간관계를 차츰 불신하게 만든다. 사랑하고 헤어지는 과정을 반복할수록 그의 생각은 더욱 굳어졌고, 그는 관계가 슬픔을 낳는다고 믿기에 이른다. 마지막 나날을 가까이 지내는 동안 아버지로 인해 올리버는 변화를 겪는다. 할은 처음으로 사랑에 빠진 모습을 숨기지 않고 보여준다. 예전과 다른 아버지를 접한 올리버는 궁금하다. 아버지가 거침없이 새로운 관계를 만끽하도록 이끈 건 무엇일까.

마이크 밀스 감독은 전작에 이어 남자의 성장을 다룬다. ‘섬서커’(2005)가 서툰 대인관계를 손가락 빠는 행위로 표현하는 소년의 성장담이라면, ‘비기너스’는 이별을 염려해 매번 관계를 파국으로 몰곤 하는 남자의 이야기다. 영화는 세 번에 걸쳐 본성을 부인하거나 부인당하는 존재가 겪는 아이러니를 언급한다. 올리버는 사냥개로 개량됐다가 애완견으로 키워지는 ‘잭 러셀’종 개를 보며 사냥개인지 애완견인지 따진다. 파티에서 마녀로 분장한 친구는 프로이트 차림의 올리버와 정신 상담을 연기하며 “난 이런 모습을 원하지 않았어.”라고 농담한다. 그리고 살아 움직이는 진짜 토끼로 바뀌기까지 고통의 시간을 견뎌야 했던 봉제완구 토끼의 이야기가 삽입된다. 현재 행복을 지키고 싶은 올리버는 속과 다른 겉모습을 연기하며 살았다. 그것이 얼마나 거추장스러운지 알기에 그는 낯선 행복이 다가올 때마다 덜컥 겁을 먹는다.

정체성에 순응하고서 할은 병에 걸려 힘겨운 상황 속에서도 마지막 행복을 누릴 수 있었다. 미래가 불안해 현재를 걱정하며 지낸 올리버는 아버지의 모습으로부터 억압의 고리를 풀 열쇠를 받아든다. 복잡하게 재지 않고 단순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는다. 죽을 걸 알면서도 우리는 살지 않는가. 이윽고 다시 마주 앉은 올리버와 애나는 어떻게 시작할지 서로에게 묻는다. ‘초보자’라는 제목을 지닌 영화는 시작을 망설이는 자의 등을 두드리며 ‘어떤 시작도 늦지 않다.’고 조언한다. 뮤직비디오와 다큐멘터리 작업을 병행해 온 마이크 밀스는 드라마가 과다한 감정을 드러내는 걸 거부하는 편이다. 아기자기한 표현을 즐기면서도 시종일관 차분한 톤을 유지하는 ‘비기너스’는 조용히 할 말을 다하는 영리한 영화다. 10일 개봉.

영화평론가
2011-11-04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