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고마워, 반달가슴곰

[환경] 고마워, 반달가슴곰

입력 2010-03-08 00:00
업데이트 2010-03-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리산 방사곰 올해도 새끼 2마리 낳아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가슴곰이 또 새끼 2마리를 출산했다.

이미지 확대
반달가슴곰 새끼가 드러누운 어미 배 위에서 젖을 먹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반달가슴곰 새끼가 드러누운 어미 배 위에서 젖을 먹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 복원센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이 2마리 새끼를 낳은 것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새끼는 전파발신기 교체를 위해 동면 중인 방사곰을 살피던 과정에서 확인됐다. 이로써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가슴곰은 지난해 야생에서 태어난 것과 올해 2월 센터 증식장에서 낳은 새끼를 포함해 모두 4마리로 늘었다.



이번에 태어난 새끼는 수컷과 암컷으로 몸무게는 약 1~1.5kg 정도로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어미곰은 2005년 러시아에서 도입해 방사한 개체로 2008년 6월 올무에 걸려 죽을 고비에서 발견돼 치료를 받은 뒤 재방사된 것이다.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한 결과 어미곰은 같은 해 도입한 수컷과 교미한 후 동면에 들어가 올해 1월 초순에 출산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송동주 센터장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야생에서 새끼가 출산됨으로써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에 필요한 존속 개체수 유지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들이 정상적인 먹이섭취 활동과 겨울철 동면 과정을 거쳐 새끼를 출산한 것은 자연에 잘 적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지리산에 반달가슴곰을 복원하기 위해 2004부터 2008까지 총 26마리를 러시아와 북한에서 들여왔다.

2012년까지 자체적으로 출산 등을 감안, 생존 가능한 50마리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자연적응에 실패한 개체와 저출산으로 복원사업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잇따라 새끼가 출산돼 축제 분위기다.

지금까지 야생에 남은 반달가슴곰은 러시아산 9마리, 북한산 7마리, 새끼곰 3마리를 포함해 모두 19마리다. 지난 2월에 센터 내 증식장에서 태어난 새끼도 자연적응 훈련을 거쳐 올해 10월에 방사할 예정이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0-03-08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